중국 당국이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차량 호출업체 디디추싱의 지분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 등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디디추싱 측은 즉각 부인했지만 최근 중국 정부가 국가안보 차원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조하고 있는 데다 잇따라 빅테크들의 지분을 취득한 사례를 볼 때 디디추싱 국유화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베이징시 당국은 국유기업들로 이뤄진 컨소시엄이 디디추싱에 투자하는 계획을 제안하고 이를 조율하고 있다. 컨소시엄은 디디추싱 이사회에서 한 개의 의석을 확보하고, 주요 사안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정도의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컨소시엄에는 베이징시 산하 차량 호출업체 서우치도 참여한다. 1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한 서우치는 디디추싱의 최대 경쟁업체로 꼽힌다. 서우치는 이번 투자가 성사되면 디디추싱과 차량 호출 서비스를 공동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디추싱은 국유기업의 자사 지분 인수에 관한 보도를 부인했다. 회사 측은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올린 성명에서 “현재 적극적이고 전면적으로 인터넷 안보 심사를 받고 있다”며 “베이징시 관련 기업들이 디디추싱 지분을 인수한다는 외국 매체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최근 국유기업을 동원해 짧은 동영상 앱인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의 중국 내 핵심 법인과 중국 내 여론 형성에 영향력이 큰 웨이보 지분을 각각 1% 인수했다. 이들 기업의 이사 자리도 하나씩 확보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동부유’를 정책 전면에 내세운 데 대해 장웨이잉 베이징대 교수가 “정부의 시장 개입이 과도하면 ‘공동빈곤’으로 갈 수 있다”고 비판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장 교수는 공익성 민간학문기구인 CE50에 기고한 글을 통해 “기업이 부를 창출할 유인이 없다면 정부가 빈곤층에 이전해 줄 돈이 없을 것”이라며 “기부는 상류가 말라버린 강처럼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계획경제는 빈곤층에 더 많은 복지를 제공하려 했지만 결과적으로 더 많은 빈곤층이 생겼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글은 장 교수의 위챗(중국판 카카오톡) 계정에 올라왔다가 삭제됐고, CE50 홈페이지에 게재된 글도 내려진 상태다.
시 주석이 ‘공동부유’ 국정 기조를 전면화한 이후 알리바바가 1000억위안(약 18조원)을 내놓겠다고 하는 등 중국 빅테크들이 잇따라 거액의 기부를 약속하고 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