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지방에서 3만 가구 가까운 아파트가 공급된다.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에서 공급 예정인 아파트만 1만여 가구가 넘는다. 서울 등 수도권에서 분양가 규제로 주요 단지들의 분양 일정이 줄줄이 연기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비규제지역인 공주, 포항 등의 분양은 눈여겨볼 만하다. 전매제한 기간이 짧고 청약 자격과 대출제한 등 각종 규제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이다. 이미 해당 지역 청약에는 수요자가 대거 몰리고 있다.
대구·대전 다음달 5333가구 분양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다음달 지방에선 2만8207가구(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가 공급된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2만3034가구에 이른다.상반기부터 부산 알짜단지로 주목받고 있는 ‘래미안 포레스티지’도 분양을 앞두고 있다. 분양 일정이 계속 밀리고 있어 다음달 구체적인 스케줄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 단지는 삼성물산이 동래구 온천동 100의 13 일대를 재개발해 전용면적 49~132㎡ 4043가구 대단지로 조성한다. 총 2331가구가 일반분양될 예정이다.
대구·대전에선 6846가구가 다음달 공급을 앞두고 있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5333가구다. 대구에선 현대엔지니어링이 중구 동인동 1가 211 일원에 주상복합 ‘힐스테이트 동인’을 공급한다. 지하 4층~지상 최고 49층, 5개 동에 전용면적 84㎡ 아파트 941가구와 전용 83㎡의 주거용 오피스텔 68실 등 1009가구가 조성된다. 대구지하철 1호선 칠성시장역과 중앙로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대구권 광역철도가 2023년 개통될 예정이다.
대전에선 코오롱글로벌이 동구 대성동 99의 21에 ‘은어송 하늘채 리버뷰’를 분양할 예정이다. 대성지구 도시개발구역 공동주택 신축공사를 통해 지하 2층~지상 33층 전용 59~84㎡ 934가구 규모로 공급된다.
비규제지역 단지 청약 눈길
강릉·동해·공주·포항 등 비규제 지역에 공급되는 단지들도 청약 대기 수요자의 관심이 높다.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6개월 이상인 만 19세 이상이라면 모두 1순위 청약이 가능하다. 계약 후 분양권 전매도 가능하고, 중도금 대출 관련 전입 및 처분 조건도 없기 때문이다.다음달 HDC현대산업개발은 경북 포항 용산지구에서 ‘포항 아이파크’를 분양한다. 포항 남구 오천읍 용산리 360의 13 일대에 들어서는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8개 동, 전용 75~101㎡ 1144가구 규모다. 29만여㎡ 규모 용산지구의 중심 입지에 조성되는 이 단지는 인근 원동지구, 문덕지구와 함께 약 1만4000가구 규모의 주거타운을 형성한다. 향후 이 일대가 포항 남부 ‘미니 신도시’로 거듭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용산지구에선 1475가구 규모의 아이파크가 추가로 공급될 예정이다. 2차 분양까지 완료되면 총 2600여 가구 규모의 ‘아이파크 브랜드타운’이 형성된다. 분양 관계자는 “‘포항 아이파크’는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등 인근 대규모 핵심 산업단지와 가까워 직주근접성이 뛰어나고 원도심 지구와 개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곳에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대창기업은 충남 공주에 ‘공주 유구 줌파크’를 선보일 예정이다. 충남 공주시 유구읍 석남리 270의 1 일원에 들어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9층, 4개 동, 84㎡ 단일 면적으로 286가구가 지어진다. 이 지역에서 20년 만에 공급되는 250가구 이상 단지로 눈길을 끈다. 단지 500m 반경 내에는 유구자카드 일반산업단지가 있다. 농공단지, 동해기계항공 등 128개 업체가 들어서 있는 등 약 2000여 명 이상 상주 중인 산업단지로 잠재수요가 풍부하다.
GS건설은 강원 동해시 효가동 산 1 일원에 짓는 ‘동해자이’를 공급한다. 지하 3층~지상 최고 20층, 9개 동, 전용면적 84~161㎡, 67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 인근에는 북삼초와 북평중, 북평고 등이 있다. 동해고속도로 동해IC를 비롯해 서울~양양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등 광역 교통망을 이용할 수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방권 분양 때는 지역별 입지, 브랜드 단지 등을 꼼꼼히 따져본 뒤 청약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주요 도시의 대단지 아파트로 청약 대기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며 “비수도권 규제지역도 확산되고 있는 추세여서 향후 5년 뒤 미래가치를 따져보고 신중하게 전략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