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글에 신청한 가상자산(암호화폐) 공시 중 25%가량은 증거 불충분 등의 이유로 반려되고 있습니다. 검증이 꼭 필요한 이유입니다."
올해로 서비스 2주년을 맞은 가상자산 공시플랫폼 '쟁글(Xangle)'을 운영하는 김준우 공동대표(사진)는 지난 2일 한경닷컴과 만나 가상자산 프로젝트 관련 정보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준우 대표가 이끌고 있는 쟁글에는 현재 총 480여개의 가상자산 프로젝트가 참여해 투자자들에게 공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시는 빗썸, 코인원, 코빗 등 국내 거래소들과 비트스템프, 오케이엑스, 코인체크 등 국외 거래소들에 공급된다.
그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가상자산 열풍이 불면서 일부 기업들이 무리해서 공시 내용을 부풀리거나 거짓 사실을 공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며 "시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 사안일수록 꼼꼼히 검증해야 한다"고 했다.
-쟁글이 서비스를 개시한지 벌써 2주년이 됐다. 감회가 어떤가.
"2018년 11월에 법인 설립을 했고, 2019년 4월 베타서비스 론칭 이후 2주년이 됐다. 그동안 서비스가 많이 성장했지만 여전히 나아가야 할 부분이 많고, 고민해야 할 부분도 많다고 생각한다."
-가상자산 관련 공시 서비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은.
"제일 어려웠던건 가상자산 시장에 공시가 왜 필요하냐는 의문이었다. 국가나 규제기관의 지원이 없는 상황에서 공시 플랫폼을 만드는 상황이었다보니 왜 굳이 공시가 필요한지 설명하고 설득하는게 가장 어려웠다."
-업계는 주로 어떤 반응이었나.
"아무래도 투자자를 위한 정보제공이라는건 토큰 발행사에는 귀찮은 일이었을 것이다. 시장 니즈를 반영해 서비스를 계속 진화시켜 왔지만 제도권에서 법적인 지위를 부여해 공시를 진행하는게 아니다보니 서비스가 자리잡기까지 쉽지 않았다."
-지난해 하반기에만 25%정도의 공시를 반려했다고 들었다.
"25%는 전체 공시건수를 기준으로 나온 수치다. 주로 파트너십이나 사업계약, 또는 투자 유치 같은 내용이 반려되는데, 해당 카테고리만 놓고 보면 증빙자료가 부족해 추가 자료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가 75%에 달한다. 그 중에서 끝까지 제출이 안 되거나 자료가 미비하거나, 검증을 거부하게 되는 경우가 30~40%정도 되는 것 같다."
-생각보다 굉장히 높은 수치인데, 원인이 뭔가.
"대부분의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작은 규모의 회사들이다보니 한번에 성과를 내기 어렵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의 니즈에 부응하기 위해 없는 이야기를 하거나 과장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부분에서 반려가 많이 나온다."
-검증이 된 정보가 아니라면 주의해야 할 것 같다.
"안타까운 점은 공시를 아무리 검증을 하고 내보내더라도 이를 안 좋은 방식으로 활용을 해서 투자자 피해를 증폭시키는 세력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아직 이런 부분(허위·과장 공시) 등에 대한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이를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을지 전사적으로 고민 중이다."
-공시 검증은 어떤 절차를 거치나.
"어떤 공시냐에 따라 검증 절차가 다르다. 예컨대 주요 임원 교체나 거래소 상장, 상장폐지 등 검증이 어렵지 않은 내용들은 비교적 간단한 확인 절차를 거쳐 공시가 나가게 된다. 반면 공시 당사자와 그 대상 주체가 있는 공시의 경우에는 꼭 사전 검증 과정을 거치게 돼있다."
-예를 들자면 파트너십 공시 같은 경우인가.
"그렇다. 파트너십 공시의 경우 주장하는 회사뿐만 아니라 상대 회사에도 파트너십 계약 유무를 확인한다. 계약 문서가 있거나 그 부분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을 했는지를 본다. 증빙문서가 없을 때는 대상회사의 내부 인원으로부터 확인이 가능한 경우만 공시를 내보내주고 있다."
-투자 계약같은 경우 검증이 더욱 까다로울텐데.
"투자계약도 마찬가지로 투자 계약서가 있거나, 투자사에서 확인을 해주거나, 온체인 데이터상으로 투자 자금이 집행된 데이터가 명확히 보이는 경우에만 공시를 내보내주고 있다. 설령 투자가 사실이라고 해도 증명할 수 없으면 공시를 내보내지 않는다.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을 지언정 확인할 수 있는 경우만 공시를 내보자는 게 원칙이다."
-앞으로 업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싶나.
"기존 증권 시장에 빗대어 아직도 보면 불법이나 사기에 해당하는 행위들이 이 업계에서 종종 이뤄지고 있는 부분이 있다. 이런 부분들을 투명하게 만들어 성과를 낼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더 많은 성취를 얻어낼 수 있었으면 좋겠고, 반대로 사기에 가까운 행위를 하는 곳들은 투자자들로부터 외면 받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공시라는 문화가 더 자리 잡게 되었을 때 투자자분들이 투자를 하는 자산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한 상황에서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
김산하 한경닷컴 기자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