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공공 클라우드센터 잡아라"…사활건 유치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정부 공공 클라우드센터 지정사업을 놓고 주요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들의 경쟁이 뜨겁다. 정부기관 전산실이 관리하던 데이터의 80%를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일자리 창출 등 부가 효과가 커 특히 주요 지방자치단체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자체들 “일자리 놓쳐선 안 돼”
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가 올해 처음 진행하는 공공 클라우드센터 지정사업에 부산시·대구시 두 곳이 참여해 심사를 받고 있다. 공공기관 중에선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도로공사 등 아홉 곳이 신청했다. 이 중 보안과 전력 상황 등 80여 가지 엄격한 요건을 충족한 곳만이 최종 인가를 받을 예정이다. 절대 평가여서 한 곳이 될 수도 있고 모두 탈락할 수도 있다. 여건에 따라 올해가 마지막 지정사업이 될 수도 있어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번 공공 클라우드센터 지정사업은 지난해 발표된 디지털 뉴딜 정책인 ‘디지털 정부혁신 발전계획’의 일환이다. 투입 예산이 570억원에 달한다. 그동안 공공부문 데이터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과 전국 각지의 행정·공공기관들이 구형 전산실에 수년간 나눠 관리해왔다. NIRS는 이미 서버 4만여 대 규모의 자체 데이터센터를 통해 보유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옮기고 있다. 이를 제외한 약 18만 대 분량의 데이터를 관리할 사업자를 선정하는 게 이번 사업의 목적이다. 주요 데이터센터의 수용 가능 서버량의 두 배에 가까운 분량이다.

공공기관보다도 지자체들의 관심이 크다. 일자리 문제, 추가 재정수입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서다. 이미 자체 데이터센터를 보유한 대구시와 부산시가 먼저 나섰지만, 경상북도와 대전시 등 여러 지자체가 후속 참여를 준비 중이다.
클라우드 부가 사업도 가능
공공 클라우드센터로 지정되는 지자체는 다른 기관을 고객 삼아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할 수도 있다. 서버와 네트워크,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소정의 비용을 받는 형태라 일종의 ‘IaaS(서비스형 인프라) 비즈니스’라 할 만하다. 데이터센터 건설과 운영 과정에서 많은 고용이 유발되는 것도 장점이다. 세종시로 낙점된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는 1000여 명의 고용 창출 전망이 알려지면서 땅 제공에 세종시를 비롯한 96개 지자체와 대학교 등이 몰렸다. 데이터센터 운영에는 석·박사급 전문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역에 고급 IT 인력을 다수 유치할 수 있다는 매력도 있다.

이런 장점 덕분에 민간 기업체 데이터센터 유치도 활발해지고 있다. 최근 전라남도와 순천시는 NHN과 함께 공공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와 스마트 IT산업밸리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자회사 NHN엔터프라이즈가 순천시에 20년간 3000억원을 투자한다. 민간 기업이 빠르게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자체가 부지 제공이나 운영 등을 담당하는 민관협력형(PPP) 데이터센터다. 올초 광주시도 비슷한 형태의 사업에 나섰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라남도처럼 자체 데이터센터가 없는 곳도 민간을 통해 요건만 갖추면 긍정적으로 검토한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라고 했다. 행안부는 이달까지 서면 심사와 실사를 거쳐 이르면 이달 말 최종 지자체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