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곳곳에서 식탁 물가가 치솟고 있다. 전반적인 물가나 소득수준보다 식량값이 훨씬 빠르게 오르면서 기아·영양실조에 빠지는 이들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신흥시장(이머징마켓) 각국에선 올해 들어 식량 가격이 크게 뛰었다. 인도네시아에선 두부 가격이 2개월간 30% 상승했다. 브라질에선 주식 곡물인 검은콩 가격이 한 달 새 54% 폭등했다. 러시아 설탕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61% 올랐다.
미국, 캐나다, 유럽 각국 등 선진국도 식량 가격 오름세가 뚜렷하다. 지난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자료에 따르면 미 가정이 소비하는 식품 가격은 전년 대비 3.7% 상승했다. 같은 기간 CPI가 1.4% 오른 것에 비하면 식량 가격 상승폭이 물가 전반 상승폭의 두 배가 넘는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1월 세계 식량 가격이 2014년 8월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식량 가격 상승세 원인은 크게 세 가지가 꼽힌다. 첫째는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균열이다. 각국에서 봉쇄조치가 시행되면서 계절 노동자들과 물류 이동이 막혔다. 유엔무역개발회의에 따르면 작년 세계 선박 물동량은 11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 대비 줄었다. 최근 들어 봉쇄조치가 완화되고 막혔던 운송길이 열리면서 물류 병목현상이 심각해졌다. 이 때문에 오른 물류비용도 식량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기후변화도 식량 가격 폭등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세계 각지에서 기후이변이 나타나면서 기존에 대량으로 기르던 작물 작황이 큰 타격을 받았다. 여기에다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현상이 식량값을 떠받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추세에 저소득층의 식량 확보 문제가 심각해졌다고 지적한다. 미국 최대 기아구제기관인 피딩아메리카는 코로나19 이후 미국에서 ‘식량 불안’을 겪는 이들이 1320만 명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2018년보다 35% 급증한 수치다.
식품 가격 상승세는 한동안 더 이어질 전망이다. 식품시장 정보업체 슈퍼마켓구루의 필 렘퍼트 창업자는 “최소 1년 반 정도는 식품 가격이 계속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