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56.33

  • 27.71
  • 1.05%
코스닥

856.82

  • 3.56
  • 0.42%
1/4

공유대학, 특성화, 의무선발…지방대 위기 극복 나선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공유대학, 특성화, 의무선발…지방대 위기 극복 나선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방대학들이 공유대학과 의무 선발, 지역 특성화 등을 통해 지역인재 양성에 나선다. 지역인재 유출과 학령인구 감소로 정원미충족, 재정악화 등 악순환에 직면한 지방대들이 지역 협업을 통해 지역인재들이 정착할 수 있는 교육·취업환경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각 대학 강점 묶어 공유대학 만든다
교육부는 관계부처 및 비수도권 14개 시도와 합동으로 수립한 ‘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을 28일 발표했다. 이는 지방대육성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기본계획이다. 지방대의 역량강화를 위한 대학혁신,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지역혁신, 지역 혁신 주체간 협업 촉진 등을 추진한다.

우선 지방대 역량을 키우기 위해 올해부터 각 지역 대학의 강점을 묶어 ‘지역특화형’ 공유대학 모델이 운영된다. 작년에 4개 시도가 참여한 3개 지역혁신플랫폼, 올해는 8~9개 시도가 참여하는 4개 플랫폼을 구축한다. 공유대학은 1~2학년 각 소속대학에서 필수,공통교양 과목을 듣고, 3~4학년 선발을 통해 각 분야별 핵심대학에서 강의를 듣는 식이다. 경남 17개 대학이 참여하는 경남 USG공유대학은 오는 1학기부터 공통교양 교육과정을 개시하고, 2학기부터 제조엔지니어링, 제조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공동체 등 3개 핵심분야의 교육과정을 공동운영할 예정이다. 공유대학을 졸업하면 소속대학 학위와 USG수료 인증을 함께 받고 지역기업 취업시 인센티브도 부여된다.

교육부는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이 손을 잡고 '디지털 혁신' 공유대학을 통해 신기술 인력을 양성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8개 신기술 분야에 참여하는 48개 대학에 832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일부는 '글로벌' 지방대로 키울 방침이다. 우수한 지역대학들이 유학생 전담학과나 다른나라와 온라인 공동 학,석사 학위과정을 운영하도록 허용해 국제화 선도모델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국립대 주도로 지역대학 간 공동교육과정과 학점교류를 활성화해 복수·공동학위를 수여하도록 지원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같은 공유대학, 공동교육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이동수업 기준을 완화하고, 2024년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에도 반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역인재 의무선발, 요건 강화
교육부에 따르면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대학 선호와 함께 비수도권 중심으로 인구유출이 일어나면서 각 지방대 미충원 규모는 5년새 급증했다. 2016년 수도권 미충원 인원은 819명에서 2170명으로, 비수도권은 같은 기간 5616명에서 1만1986명으로 집계됐다.

교육부는 우수한 인재가 지역 대학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별도 유인책도 마련했다. 지방대육성법 개정을 통해 지방대 의,약, 간호계열 대학과 전문대학원의 지역인재 의무선발과 지역인재 요건을 강화한다. 지역인재 조건이 해당 지역 고교졸업자에서 비수도권 중학교과 해당지역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재학기간 내 학교소재 지역에 거주한 학생으로 바뀐다. 국가장학금 체제를 개선해 지방대 장학금 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대학과 기업을 연계해 일자리가 있는 캠퍼스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대학 내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대학 유휴교지를 활용한 기업, 연구시설 유치를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올해 5개 대학에 314억원을 지원한다. 지역의 고급인력 양성과 연구개발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공유대학을 대학원까지 확장시켜 지역연합대학원도 나올 전망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수도권 인재 유출은 교육 문제뿐 만 아니라 일자리, 정주 여건 등 복합적 요인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종합적이고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대학·지역·분야 간 공유와 동반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