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29일 정부의 백신 추가 확보 소식을 전하면서 “노바백스, 화이자 등과 추가 협상이 끝나면 백신 확보 물량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확보한 5600만 명분보다 많은 백신을 구하겠다는 취지다. 5600만 명분은 한국 인구(5183만 명)의 108%가 맞을 수 있는 양이다.
청와대와 여당에선 그동안 인구수의 120%에 해당하는 백신 물량을 확보하겠다고 밝혀왔다. 산술 계산하면 6220만 명분이다. 이날까지 확보된 물량을 감안하면 아직 620만 명분이 모자란다.
국내 계약 가능성이 높은 백신은 노바백스에서 개발하고 있는 항원합성 유전자 재조합 방식 백신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의약품수탁개발생산(CDMO)을 맡아 상업생산을 위한 준비 절차를 밟고 있다. CDMO는 단순히 제품을 생산하는 의약품수탁생산(CMO)보다 더 앞선 단계다. 제품 개발에도 참여한다. 제품 개발 과정에 국내 기업이 참여했기 때문에 국내 물량 확보에 더 유리할 것으로 업계에선 내다봤다.
노바백스에서 개발하는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 단백질 조각을 합성해 몸속에 넣어주는 방식이다. 2~8도 상온 보관할 수 있다.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바이러스 벡터보다 더 전통적인 백신 개발 방식이다. 그만큼 안전성이 입증됐다는 의미다.
노바백스는 28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멕시코 등 115곳에서 3만 명이 참여하는 임상 3상에 들어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내년 1분기에 영국과 유럽에서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하는 게 목표다. 이 백신이 도입되면 한국 정부에서 확보한 백신 플랫폼이 mRNA, 바이러스 벡터 두 가지에서 세 가지로 늘어난다. 정부는 화이자 백신도 추가 확보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가 인구보다 많은 양의 백신을 확보하는 것은 코로나19 개발 백신의 불확실성 때문이다. 한국에서 물량을 확보한 백신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얀센 백신은 임상 3상이 끝나지 않았다. 추가 계약이 유력한 노바백스 백신도 마찬가지다. 아직 실패 가능성이 남아 있다. 한국뿐 아니라 각국 정부가 인구보다 많은 양의 백신 확보에 나선 이유다.
정부는 이날 모더나 백신을 2분기에 도입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내년 상반기에 접종을 시작하는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1000만 명분), 얀센(600만 명분), 모더나(2000만 명분) 등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끄는 코박스퍼실리티 공급분(1000만 명분)도 1분기 도입을 목표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 2분기면 mRNA와 바이러스백터 등 최소 두 가지 종류의 백신이 공급된다는 의미다. 다양한 종류의 백신을 비교적 이른 시기에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정부의 우선접종대상자 선정 작업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