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항공기 정비(MRO)를 전담하는 민·관 통합법인을 설립하려는 이유는 간단하다. 항공산업의 기반이 되는 MRO 분야의 국제 경쟁력을 키우고 항공사의 생존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대한항공은 MRO를 항공우주사업부가 맡고 있다. 전체 인력은 1900여 명에 달한다. 모든 정비인력을 포함하면 5000명이 넘지만 보잉777 화물기 등의 기종은 외주를 주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정비를 위해 빈 여객기를 해외로 몰고 가는 경우도 흔하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별도 MRO 사업부조차 없다. 대신 세계 최대 MRO 업체인 루프트한자테크닉에 외주를 준다. 지난해 기준 국내 MRO 시장 규모는 2조7621억원에 달하지만 이 중 절반인 1조2580억원(45.5%)은 외국업체에 맡기고 있다.
정부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MRO 외주비부터 줄이는 것이 급선무라고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와 채권단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정비부문 조직과 인력을 떼내 별도 법인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어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산업체를 끌어들여 조인트벤처 방식의 합작법인을 설립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구상이다. 장기적으로는 LIG넥스원까지 끌어들여 민수뿐 아니라 전투기 등 방산 MRO 시장까지 진출하겠다는 계획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세계 MRO 시장 공략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정비(maintenance), 수리(repair), 분해·조립(overhaul)으로 구성된 MRO 시장 규모는 2017년 기준 755억달러(약 84조2000억원)에 달한다. 매년 4.6% 증가해 2027년엔 1180억달러(약 131조6000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한 방산업체 고위 관계자는 “민·관 합동 초대형 MRO법인이 출범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