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63.92

  • 19.82
  • 0.72%
코스닥

858.95

  • 0.01
  • 0.00%
1/2

임대차법 시행되자…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첫 5억 돌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임대차법 시행되자…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첫 5억 돌파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사상 처음으로 5억원을 돌파했다. 평균 매맷값은 10억원에 임박했다.

26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1011만원을 기록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최고치다.

1년 전의 평균값인 4억6541만원과 비교하면 4470만원(9.6%) 상승했다. 2년 전인 2018년 8월(4억5583만원)보다는 5428만원(11.9%) 올랐다. 최근 1년간 전셋값 상승이 가팔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지역(한강 이남 11개 자치구)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1년 사이 10.2%(5503만원) 올랐다. 강북 지역(한강 이북 14개구)의 평균 전셋값 상승률은 이보다 낮았다. 같은 기간 8.9%(3357만원) 올랐다.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10억원에 육박한데다 상승세는 더 컸다. 서울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9억8503만원을 기록해 마찬가지로 사상 최고가를 찍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억5330만원(18.4%) 상승했고, 2년 전보다는 2억3525만원(31.4%) 올랐다.

매매가는 강북의 상승률이 더 심했다. 강남 지역(11개구) 평균 아파트값이 1년 새 16.9%(1억7084만원) 올랐다. 같은기간 강북 지역(14개구)은 21.5%(1억3493만원) 상승했다.

한편 이러한 상승세에도 시장에서는 전셋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태다. 이달 서울 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는 140.2를 나타냈다. 통계가 나온 2016년 1월 이후 가장 높았다. 이 지수는 0∼200 범위에서 표현되며 100을 넘길수록 상승 전망이 강함을 의미한다.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18.7로 여전히 상승한다는 전망이 많게 나왔다. 다만 지난달(120.3)에 비해서는 다소 떨어졌다. 아파트값도 계속 상승하겠지만, 상승세는 다소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