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전국 주택가격이 대체적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그러나 경기도 수원을 비롯한 일부 지역과 대전은 강세를 이어갔다.
25일 KB부동산 리브온이 발표한 월간 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국 주택 2020년 2월 매매가격(1월14일~2월10일)은 전월대비 0.37% 상승을 기록했다.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0.35% 올라 지난달 상승률(0.48%)보다 축소됐다. 서울에서는 1%이상 상승한 지역도 한 군데도 없었다.
강남권은 전월대비 일제히 상승률을 줄이면서 약세를 보였다. 강남(0.24%), 서초(0.25%), 송파(0.18%), 강동(0.15%) 등 강남4구는 0.2% 안팎의 오름세에 그쳤다. 그러나 비강남권인 노원구(0.68%)와 구로구(0.68%)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양천구(0.63%), 영등포구(0.63%), 동작구(0.55%) 등이 그 다음으로 높은 상승을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상승폭이 둔화됐다.
정부의 12·16 안정화 대책에 영향을 강남4구 매물에 대한 관심이 줄면서 가격 상승에 힘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겨울 비수기 및 수요 문의가 사라졌다. 다만 양천구는 목동6단지 안전진단 통과로 안전진단 신청 또는 준비 중인 목동 재건축 단지들이 상승했다. 노원구와 구로구는 실수요 위주로 관심이 높아 상승을 보였다.
서울의 움직임과는 반대로 경기도와 인천에서는 전월대비 상승폭을 확대했다. 이달 경기는 0.78% 상승했고, 인천은 0.35% 올랐다. 경기지역에서는 수원의 상승률이 단연 돋보였다. 수원 영통구(3.53%), 수원 권선구(2.72%), 용인 수지구(2.61%), 고양 덕양구(1.72%), 수원 장안구(1.67%) 등이 높게 상승했다. 이천(-0.07%) 지역만 하락했다.
수원 영통구는 영통2구역 매탄주공4.5단지 재건축 심의 통과, 수원선 원천역 2025년 개통 확정 기대감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수원 권선구는 신분당선 호매실 연장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의 영향을 받았다. 신분당선 2023년 착공 발표로 인해 최대 수혜지역인 권선구 금곡동, 호매실동 일대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 그러나 이번 주택조사는 수원에 조정대상지역을 추가하는 내용의 2·20대책이 발표되기 전까지의 시세다. 최근 주춤한 것으로 알려진 동향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 밖에 대전(0.84%)은 지난달(1.39%)에 이어 높은 상승률을 기록중이다.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대구(0.27%), 울산(0.27%), 광주(0.11%), 부산(0.09%)도 전월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기타시도에서는 강원(-0.13%), 경북(-0.11%), 전북(-0.07%), 충북(-0.03%), 전남(-0.01%), 경남(-0.01%)은 하락했다. 세종(1.44%), 충남(0.17%)이 전월대비 상승했다.
전세값은 전국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18% 올랐다. 수도권과 광역시는 전세수요가 꾸준하고, 지방은 일부 지역만 소폭 하락을 보였다. 서울(0.16%)은 전월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지만 수도권(0.24%)은 전월대비 상승했다. 5개 광역시(0.20%)는 상승, 기타 지방(0.00%) 은 전월 대비 보합을 보였다. 5개 광역시는 대전(0.59%), 울산(0.20%), 대구(0.18%), 광주(0.16%), 부산(0.07%) 모두 상승했다.
서울 전셋값(0.16%)은 실수요자와 새학기를 앞둔 수요에도 공급이 부족해서 전월에 이어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 영등포구(0.49%), 강남구(0.42%), 양천구(0.39%), 금천구(0.26%), 강서구(0.25%) 등이 상승했다. 강남구와 양천구는 겨울방학 이사철 수요로 전세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소유주 2년 거주 시 양도세 혜택이 있어 소유주들이 입주하거나 월세로 전환하는 임대인들이 많아져서 전세 물량이 더욱 줄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용인 수지구(1.36%), 수원 영통구(0.94%), 고양 덕양구(0.85%), 용인 기흥구(0.73%), 과천(0.58%) 등에서 오름세였다.
한편 매매가격 전망지수에서 전국 매매가격 전망지수를 지난달 108에서 110으로 소폭 올랐다. 대전은 121로 여전히 상승전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은 110로 상승전망이 둔화됐다. 부산은 작년 11월과 12월에 기준점인 100을 넘기며 기대감을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기준점인 100 근방을 맴돌고 있다.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4000여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지역의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 전망에 대한 조사다. 0~200 범위의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100을 초과(미만)할수록 ‘상승(하락)’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