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타임즈 플러스가 창간 200호를 맞아 미래 자동차 특집을 준비했다. 4차 산업혁명의 대표 제조물로 떠오른 자동차의 미래 변화를 통해 달라질 미래사회까지 조망해 보자는 취지다. 특히 미래에는 사물과 사물,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등이 자동차를 매개로 직접 연결되는 만큼 커뮤니케이션이 중요 항목으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미래 자동차가 표현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집중 취재했다. <편집자>
-자동차, 운송수단에서 움직이는 단말기로
-V2V(차 간 통신) 기술, 미래 자동차 핵심으로 떠올라
자동차의 전장화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리고, 라디오 전파를 수신하고, 내비게이션이 경로를 안내하는 모든 과정에 전자부품이 필요하다. 자동차의 기본 기능인 달리기조차 구동부를 제어하는 데 있어 전자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자동차가 기계장치에서 IT기기로 변신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또 필연적으로 자동차의 연결성 역시 한층 강화되고 있다. 휴대전화가 스마트폰으로 진화하면서 우리 삶을 크게 바꿔놨듯이 자동차의 연결성이 강화될수록 교통문화 자체가 완전히 달라질 가능성이 충분하다.
V2V(차간 통신, Vehicle to Vehicle) 기술의 핵심은 실시간으로 도로 위의 차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다. 라디오나 GPS 등은 방송국이나 통신위성이 보낸 신호를 받아 작동한다. 그러나 V2V 기술은 자동차가 수동적인 단말기에 그치는 게 아니라 직접 정보를 생산하고 교환하는 단계까지 상정한다.
도로 위의 교통흐름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건 현재 그 도로를 달리고 있는 차다. 차에 장착한 다양한 센서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내장 컴퓨터가 이 데이터를 유의미한 정보로 바꿔 주변 차들에 전달한다. 수백미터 범위 내의 차들이 유기적으로 이 같은 작업에 동참하면 도로 위의 차들은 마치 인체의 신경망처럼 연결된다. 자동차가 교통흐름을 만드는 요인인 동시에 정보를 파악하고 소통하는 허브로 변모하는 셈이다.
V2V 기술이 보편화할수록 교통흐름이 원활해지고 사고발생률을 극단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게 자동차업계 분석이다. 갑작스런 사고나 도로공사 등은 현재의 톱-다운 방식으론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반면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돌발상황에 V2V 기술은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다. 사고로 멈춘 차를 발견한 스마트카가 다른 차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순식간에 뒷차들로 전달하면서 대안경로로 교통량이 신속하게 분산될 수 있어서다. 또 차 간 통신이 활발해지면 한 대의 차가 미처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나 급제동 위험 등을 다른 차가 감지, 경고할 수 있다. 내 주변 차들이 위험요소가 되는 게 아니라 서로가 지켜주는 동반자가 되는 순간이다.
각국 정부는 V2V 기술이 교통사고나 교통정체같이 사회적 비용이 큰 문제들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나라는 미국이다. 올해초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V2V를 위해 '단거리 전용통신(DSRC)' 방식을 적용한 단말기의 의무 부착을 4년 이내에 끝내겠다고 발표했다. 사고를 줄이고 교통체증이 완화되면서 미국에서만 연간 2,760억 달러 이상의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콘티넨탈과 델파이 등 전통적인 자동차부품사는 물론 이스라엘 모빌아이 등 자동차 전장기업들도 V2V 기술이 교통사고를 80~90% 줄일 수 있다고 공언한다.
자동차와 IT 강국인 우리나라도 V2V분야에선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대·기아자동차는 올해 경기도 화성시와 손잡고 V2V 실증사업에 나섰다. 화성시내 약 14㎞에 달하는 공도에 V2V 구현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50대 이상의 차가 실제 도로 위를 달리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교차로를 통과하는 동안 추돌사고가 예상되면 주변 차에 경고한다든지, 앞차가 급제동 신호를 보내면 뒷차도 미리 운전자에게 위험신호를 보내면서 감속하는 기능 등은 이미 실제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란 게 회사측 설명이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화성시에 약 36만㎡ 규모의 자율주행차 전용 실험도시 K-시티를 구축하고 있다. 자동차제조사와 부품사, 대학교와 연구소 등에 V2V 실험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차 간 통신은 물론 궁극적인 지능형 교통통신단계로 일컫는 V2I(Vehicle to Infra, 차와 기간시설 간 통신) 실험을 위한 환경까지 조성했다. 차 간 통신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도로 등 교통 인프라와 주고받고, 단순히 정보 공유에 그칠 수 있는 V2V가 보다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를 하겠다는 게 정부 복안이다.
세계적으로도 V2V나 자율주행차 등 첨단 자동차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만든 사례는 드물다. 우리나라를 제외하면 미국과 중국, 일본 정도에 불과하다. K-시티는 미국 미시간대학교의 교통연구센터가 주도한 최초의 교통실험도시 'M-시티'의 영향을 받아 조성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쉐보레 볼트 EV, 배터리 불량 발견돼
▶ 경유차 배출가스 인증 강화, 1년 미룬다
▶ 폭스바겐 티구안-파사트-올스페이스, 한국 나온다
▶ [하이빔]수소차 보급 나선 일본, 한국은 인식이 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