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1m 이내도 파악' 2018년 초정밀 위치확인 서비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m 이내도 파악' 2018년 초정밀 위치확인 서비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토부, 1천280억원 들여 GPS 보정시스템 개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신호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오차 1m 이내의 정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오는2018년 선보일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내년부터 위성기반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SBAS) 개발에 들어가 2018년 시범 서비스를 한다고 3일 밝혔다. 연구개발 사업에는 1천280억원이 투입된다.

서승환 국토부 장관은 이 같은 계획을 이날 오전 국무회의에서 보고했다.

미국 정부가 세계에 제공하는 GPS는 자동차 내비게이션과 스마트폰 지도 등에폭넓게 쓰이지만, 미국 GPS 수신국 기준으로 17∼37m의 오차가 있어 정확성이 떨어지고 신뢰성이 낮다. 오차는 수신기 성능에 따라 많게는 수백m까지 나기도 한다.

SBAS는 GPS 신호를 보정해 오차를 줄여 실시간 정밀 위치정보를 제공하고자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정한 국제표준 시스템이다. ICAO는 2025년까지 전 세계 SBAS 운영을 목표로 각국에 적용을 권고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이미 항공, 해양, 도로, 정보통신, 물류, 응급구조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SBAS를 활용하고 있다.

국토부는 SBAS 개발 사업이 지난달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방위사업청 등과 협의회를 구성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SBAS는 GPS를 이용하는 모든 분야에서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위치기반산업에서 널리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항공, 자동차, 철도, 선박 등 교통수단에서는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 안전도를높일 수 있다. 특히 계기착륙시설(ILS)이 없는 공항에서도 항공기가 SBAS를 이용해정밀 착륙할 수 있으므로 항공기 위치파악 오류 사고를 줄일 수 있다. 기상이 좋지않아도 항공기 정밀착륙이 가능해 지연과 결항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SBAS를 통한 항공안전 향상과 위치기반산업 발전으로 얻는 편익의 경제적 가치가 연간 347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kimy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