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89.57

  • 32.76
  • 1.33%
코스닥

698.31

  • 3.84
  • 0.55%
1/4

우리나라 국부 1경2천359조…가구당 순자산 3억6천만원(종합2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한은-통계청 국민대차대조표…지난해 국민순자산 5.7% 증가세종·제주 개발에 토지자산 5.9%↑…가계 순자산의 4분의 3이 부동산

우리나라가 보유한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이 1경2천359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7.9배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국부(國富)의 대부분은 토지, 건물 등 부동산에 묶여 있고 토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세종시 개발 등의 영향으로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의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평균 순자산은 가구당 3억6천만원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은 14일 이런 내용을 담은 񟭏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를발표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일정 시점에서 국민경제의 실물자산과 금융자산, 부채의 규모및 증감을 기록한 통계다.

◇ 작년 말 국부 1경2천조 돌파…87%가 부동산 자산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국가 전체의 재산을 가리키는 국민순자산은 작년 말현재 1경2천359조5천억원으로 추계됐다.

이는 2014년(1경1천692조4천억원)보다 5.7%(667조2천억원) 늘어난 규모다.

비금융자산이 1년 동안 530조4천억원 늘었고 순금융자산도 경상수지 흑자 등의영향으로 136조7천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국민순자산은 우리나라에서 1년 동안 가계, 기업, 정부 등의 경제 주체가 생산한 부가가치인 명목 GDP(1천558조6천억원)의 7.9배 수준이다.

이 비율은 2011∼2013년 7.7배에서 상승했다.

전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GDP 대비 국민순자산 비율이 상승한 것은 2014년이후 국민순자산에서 대외투자의 영향력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대외투자에서 외국인의 국내투자를 뺀 순국제투자는 2013년 372억달러 적자에서 2014년 876억 달러 흑자로 바뀌었고 작년에는 1천953억 달러 흑자를기록했다.

경기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의 국내 투자 증가세가 주춤한 가운데 해외 투자가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작년 말 국민순자산 가운데 부동산, 건물, 설비, 지식재산생산물 등 비금융자산(실물자산)이 1경2천126조5천억원으로 98.1%를 차지했다.

토지자산이 6천574조7천억원으로 국민순자산의 53.2%로 파악됐고 지하자원은 20조원, 입목자산(임야의 나무)은 23조원으로 각각 추산됐다.

여기에 건설자산(4천166조4천억원)을 더하면 부동산 관련 자산은 1경784조1천억원으로 국민순자산의 87.3%에 달한다.

금융자산(1경3천496조1천억원)에서 금융부채(1경3천263조1천억원)를 제외한 순금융자산은 233조원이다.

◇ 토지자산 5.9% 늘어…생산에서 자본투입량 증가율 계속 하락 지난해 국민순자산을 유형별로 보면 토지자산의 증가세가 뚜렷하다.

토지자산은 6천574조7천억원으로 2014년(6천209조8천억원)보다 5.9%(364조9천억원) 늘었다.

비금융자산에서 토지자산 비중은 작년 말 현재 54.2%로 2014년보다 0.6% 포인트상승했다.

이 비율은 2007년 57.1%를 기록하고 나서 하락했다가 2013년 53.2%, 2014년 53.

6% 등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GDP 대비 토지자산 비율도 2013년 412.8%, 2014년 417.9%에서 지난해 421.8%까지 상승했다.

한은과 통계청은 토지자산 증가세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축소됐다가혁신도시, 세종시, 제주도 개발 등으로 2014년부터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김광섭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토지자산이 지가(땅값) 상승에 힘입어 증가했다"며 "제주도에서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고 전원주택의 토지 수요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토지자산을 시·도별로 보면 서울의 비중이 가장 컸다.

서울의 토지자산은 2014년 말 기준 1천685조3천억원으로 전체의 27.1%를 기록했다.

서울, 경기, 경남 등 자산 규모 상위 3개 시도가 전체 토지자산의 59.3%로 쏠림현상을 보였다.

2014년 토지자산 증가율은 제주가 21.5%로 가장 높았고 대구(13.1%), 세종(12.5%), 울산(12.4%)도 10%대 증가율을 나타냈다.

토지자산의 수도권 집중은 다소 완화됐다.

수도권 지역의 토지자산 비중은 2010년 61.4%에서 2014년 58.6%로 2.8% 포인트하락했다.

재화 및 서비스 생산에서 자본투입량의 증가율을 보여주는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지난해 3.6%로 2014년보다 0.1% 포인트 떨어졌다.

이 수치는 2012년 4.0%에서 2013년과 2014년 각각 3.7%를 기록하는 등 완만히둔화되고 있다.

자본 투입은 경제 성장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우려되는 대목이다.

박상영 통계청 소득통계과장은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의 하락은 결국 성장잠재력 둔화로 연결된다"며 "우리나라에서 쌓인 저축이 국내 투자가 아니라 해외 투자로 나가는 것은 우리 경제의 큰 도전 과제"라고 말했다.

◇ 가구당 순자산 3억6천만원…74%가 부동산에 묶여 작년 말 현재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가구당(2.55명 기준) 평균 순자산은 3억6천152만원으로 추정됐다.

국가별 구매력을 반영한 구매력평가환율 기준으로 가구당 순자산은 40만5천 달러다.

이는 미국(2014년 기준 61만6천 달러)의 66% 수준이고 프랑스(48만6천 달러),일본(46만6천 달러), 유로지역(43만8천 달러)보다 적었다.

가구당 순자산은 2012년 2.64명 기준 3억2천566만원, 2013년 2.61명 기준 3억3천232만원, 2014년 2.57명 기준 3억4천478만원으로 꾸준히 늘어왔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에서 토지, 건물, 지식재산생산물 등 비금융자산비중은 지난해 75.6%로 2014년(76.3%)보다 0.7% 포인트 낮아졌다.

그러나 이 비율은 미국(34.9%), 일본(44.3%), 캐나다(55.1%), 영국(57.4%) 등주요 선진국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이 대부분 부동산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7천176조2천억원) 중 토지, 입목, 건물 등 부동산자산은 5천305조1천억원으로 73.9%나 됐다.

앞으로 부동산 가격의 하락 가능성 등의 잠재적 위험을 고려하면 가계가 금융자산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가계의 대표적 자산인 주택의 시가총액은 작년 말 3천519조5천억원으로 GDP의 2.26배 규모다.

이 비율은 미국(1.4배), 일본(1.8배), 캐나다(2.0배)보다 높지만 이탈리아(3.7배), 호주(3.5배), 프랑스(3.1배)보다 낮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