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원/달러 환율 3년10개월여 만에 장중 1,200원대 터치(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3년10개월여 만에 장중 1,200원대 터치(종합)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그간의 환율 추이 관련 설명과 전문가 코멘트를 추가합니다.>>

북한군의 포격 도발과 중국 경제 부진 등의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3년10개월여 만에 장중 1,200원대로 올라섰다.

2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전 9시께 달러당 1,200.0원을 기록했다.

장중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에 진입한 것은 2011년 10월 4일 이후 처음이다.

지난 20일 오후 북한군이 경기 연천 지역에 포탄을 발사하면서 남북 간 긴장이고조되고 21일 발표된 중국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8월 잠정치가 6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어 위험 회피 심리를 부채질 한 점이 원화 가치를 끌어내렸다.

전 거래일 9.9원 급등하며 종가 기준으로 3년 11개월 만에 최고치인 달러당 1,195원대를 기록한 원/달러 환율은 이날 3.0원 오른 1,198.0원에 개장한 직후 1,200.0원을 찍었다.

이후 다시 내림세로 돌아서 오전 9시54분 현재 달러당 1,196.8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성선물에 따르면 2011년 이후 원/달러 환율 평균은 달러당 1,096.8원이다.

1,200원대를 찍은 것은 근 4년 만의 일로, 외국인 자금 이탈로 원/달러 환율이추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 1,200원대를 찍은 것 자체가 큰 충격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서정훈 외환은행 경제연구팀 박사는 "단기적인 이슈가 많아 외환 시장에서 위험회피 성향이 강해져 달러화, 엔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심리적으로 달러당 1,200원을 넘으면 부담을 느끼지만 그 자체가 시장에 큰 충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남북 간의 긴장이 빠르게 해소된다면 중국 경제 불안, 미국 연내 기준 금리 인상 이슈가 다시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것"이라며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가 시장에 선반영돼 점진적으로 원/달러 환율은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대외적인 충격이 나타나지 않는 한 1,200원대를 터치하되되돌림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이고 중장기적으로는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을 웃도는 쪽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2011년 이후 평균 환율을 볼 때 이미 환차손을 많이입은 외국인들이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를 찍었다고 자금을 뺄 것 같지는 않아보인다"며 "자금이 이탈하더라도 그것은 원화 환율 때문이 아니라 신흥시장 불안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 연구원은 "1,200원대가 뚫리면 1,250원대도 뚫린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당국이 오늘 개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면서 "장기적으로는 북한 뉴스가 아니라 중국증시 불안, 미국 금리 인상 같은 요인이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원/엔 재정환율은 오전 9시34분께 100엔당 982.31원으로 전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0.3원 올랐다.

원/엔 재정환율이 100엔당 980원대를 돌파한 것은 지난해 10월 24일 이후 처음이다.

porqu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