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23.29

  • 26.38
  • 1.02%
코스닥

770.26

  • 0.72
  • 0.09%
1/3

디플레 우려한다는데 '내 물가'는 왜 이리 뛸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정부발표 소비자물가 & 체감물가 사이 괴리 커

직장인 이모(47) 씨는 최근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디플레이션(deflation·디플레)'이라는 말이 피부에 와 닿질 않는다.

디플레는 물가가 내리면서 경기가 부진해지는 현상인데, 자신이 느끼기에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째 0%대이고 담뱃값 인상분을제외한 상승률은 마이너스라고 하는데 이 씨가 체감하는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올 들어 중학생 아이(15)의 영어 학원비는 월 2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올랐고,아파트 전세비 부담은 폭등이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뛰었다.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찾는 회사 구내식당 식사비마저 최근 3천800원에서 4천원으로 올랐다.

올해부터 담배 가격이 갑자기 뛰어 금연을 결심해 봤지만 작심삼일이다.

기는 월급에 뛰는 물가를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해지면서 자꾸 담배에 손이 가끊기가 쉽지 않다.

이 씨의 부인도 대형마트에 장을 보러 가면 조금이라도 더 싼 물건을 고르기 위해 빈 카트를 끌고 뱅뱅 돌기 일쑤다.

조금만 담아도 10만원이 금방 넘어간다.

그런데도 물가가 안 오르고, 심지어는 내렸다고도 하니 알쏭달쏭한 노릇이다.

이 씨 부부의 사례는 일반인이 주로 소비하는 물품·서비스의 체감 가격과 정부가 내놓는 물가 수준 간에 극심한 괴리가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 정부 발표 소비자물가 상승률 0.4%, 체감 물가는 3%대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2월24일부터 3월3일까지 유선 전화로 전국의 성인 남녀1천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체감 경제성장률은 -1.1%이고 체감 물가상승률은 3.3%로 나타났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4%에 그치고, 담뱃값 인상 요인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하락했다는 통계청 발표와는 거리가 있다.

그러나 작년 동기 대비 4월 소비자물가에서도 소비자의 체감도가 높은 품목의물가 상승률은 실제로 높았다.

담배(국산)가 83.7%로 상승폭이 가장 컸고 배추 35.3%, 감자 24.0%, 소시지가 17.9%로 많이 올랐다.

가방(10.6%), 운동화(9.5%), 구내식당 식사비(5.4%), 쇠고기(국산, 4.6%), 중학생 학원비(3.2%)도 큰 폭으로 뛰었다.

◇ 괴리 원인은 개인 소비패턴 차이 체감물가는 개인별 소비 패턴을 반영하는 것이다.

대표 품목의 가격변동으로 산출하는 소비자물가와의 차이가 어느 정도 생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통계청이 현재 전국의 소비자물가를 지수화하는 데 활용하는 주요 품목은 481개다.

산출 과정에서 평균적으로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이 큰 품목에 대해서는 그만큼가중치를 부여한다.

가중치는 전세, 스마트폰 이용료, 휘발유 가격, 월세, 도시가스료, 전기료, 중학생 학원비, 외래진료비, 공동주택 관리비, 경유 값 순으로 높다.

이 가운데 올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는 전세(3.3%)와 공동주택관리비(3.7%),중학생 학원비 등 피부에 곧바로 와 닿는 품목이 상승했다.

반면에 휘발유(-19.5%), 경유(21.7%), 도시가스(-14.0%) 가격은 많이 떨어졌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일상생활과 연관성이 높은 물가가 올 들어 크게 하락하면서전체적인 생활 물가지수를 끌어내려 지난 2월 -0.7%, 3월 -0.8%, 4월에는 -0.7%로나타났다.

1995년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수준을 이어가면서 일각에선 디플레 우려까지나오고 있는 이유다.

생활물가 구성요소 가운데 식품 값이 4월에 1.5% 올랐다.

그러나 화장지, 치약, 세제 등 생활 공산품은 1.7% 떨어졌다.

생활물가는 체감물가와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커 소비자들이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낄 수 있는 142개 품목으로 작성한지수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물가가 떨어진 품목에 대한 인식은 낮은 반면에오른 품목에 대한 인식을 더 하게 되는 속성이 있다"며 "체감물가 상승률이 크다고느끼는 것은 그런 이유라고 본다"고 말했다.

lkbi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