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44.10

  • 14.32
  • 0.52%
코스닥

858.96

  • 3.23
  • 0.37%
1/1

30~60세 절반 이상 "자녀양육 때문에 노후준비 못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0~60세 절반 이상 "자녀양육 때문에 노후준비 못해"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68% "은퇴후 귀농ㆍ귀촌 긍정적 고려"…NH은퇴硏 설문조사

한창 경제활동을 하는 30대부터 50대까지의 절반 이상이 자녀 양육 때문에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NH은퇴연구소는 농협은행을 거래하는 30세 이상 고객 5천575명을 대상으로 한설문조사에서 이런 결론이 나왔다고 26일 밝혔다.

노후준비의 장애 요인으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자녀 양육(응답률 56.1%)이다.

부모 봉양(3.1%)을 꼽은 응답자는 극히 적었다.

연령대별로는 자녀 양육 부담 때문에 노후준비를 잘 못 한다는 응답이 40대(64.

9%), 50대(57.3%), 30대(50.6%) 순으로 많았다.

현재의 생계비 충당을 노후준비 장애 요인으로 꼽은 응답자는 60대 이상(25.0%), 30대(23.2%), 50대(18.7%), 40대(15.0%) 등으로 많았다.

반면 노후준비는 '이르면 이를수록 좋다'는 인식이 주를 이뤘다.

30대 응답자 2천556명 가운데 20~30대부터 노후준비를 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82.6%(20대 25.2%, 30대 57.4%)에 달했다.

40대 응답자 1천877명 중에서도 20~30대부터 노후준비가 필요하다는 응답률은 59.8%(20대 13.4%, 30대 46.4%)였다.

연구소는 "노후준비를 인식하는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며 "(이런 인식은)언론과 주변인의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률이 76.5%였다"고 설명했다.

노후준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응답률 98.5%)과 달리 노후를 충분히 준비하고있다는 응답률(4.7%)은 매우 낮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30대 16.8%, 60대 21.6%)을, 연령이낮을수록 사적연금과 퇴직금(30대 40.4%, 60대 32.6%)의 중요성이 크다고 봤다.

노후준비 방법은 '절약과 저축'이 47.5%로 가장 많았고 경제활동 연장(20.3%),투자로 목돈 마련(16.9%), 맞벌이 등 소득극대화(14.1%) 순이다.

전체 응답자의 67.7%는 은퇴 후 귀농·귀촌을 긍정적으로 고려한다고 답했다.

다만, 젊은층은 '풍족한 전원생활'을, 50·60대는 '저비용 이주'를 우선시했다.

구체적인 이주 계획이 있다는 응답자들은 귀농·귀촌 때 지녀야 하는 자금으로1억~3억원(36.0%)이나 3억~5억원(29.9%)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허승택 연구소장은 "고령화 이슈로 젊은층까지 은퇴설계 수요가 확산했지만, 자녀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식과 생계유지 부담이 노후준비를 가로막는다"고 진단했다.

zhe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