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정원 2.5배 초과…‘옥상 교실’까지 등장
연 3만불 국제학교 학비도 지원해주는 공무원·대기업
중기 주재원들, “학교 때문에 이산가족 생활”
한인학교측 제2캠퍼스 추진 중
교육부, 다른 국가 한인학교와의 형평성 고려해야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8/AB.20266243.1.jpg)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에서 ‘학교 대란’이 벌어지고 있다. 대기업에서부터 빨래방 프랜차이즈까지 다양한 형태의 기업들이 진출하는데 정작 주재원 자녀들이 다닐 학교가 부족해서다. 하노이 유일의 한인학교인 한국국제학교(이하 하노이 한인학교) 학생수는 정원의 2.5배 규모인 2030명에 달할 정도다. 정원 초과로 올해 초등학교 1학년은 예년의 절반밖에 뽑지 못했다.
○ 주재원들의 최대 고민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8/AB.20266244.1.jpg)
2017년부터 학생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2년 간 약 800명이 불어났다. 정부가 신남방정책을 강조하면서 핵심 교두보인 베트남으로 기업들이 몰리기 시작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기업들이 탈(脫)중국을 꾀하면서 대안으로 베트남을 점찍은 것도 주요 배경이다. 급기야 올해 학급당 인원이 40명으로 불어났다. 교육 환경은 급속도로 나빠졌다. 옥상에도 교실을 만들어 특별활동반을 옮겼다. 최 교장은 “붕괴 위험이 있어 옥상 교실에 정규반을 만들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복도 한쪽을 메운 ‘쪽방 교실’까지 등장했다. 최 교장은 “베트남 현지 가정이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든 교실도 조만간 없앨 예정”이라고 말했다.
○ “자녀들 보낼 학교가 없다”
들어갈 자리가 없다보니 하노이 한인학교 입학은 하늘의 별 따기다. 180명을 뽑은 지난해 초1 과정엔 212명이 응시해 거의 한 반 규모의 학생이 떨어졌다. 최 교장은 “떨어진 학부모들이 학교에 찾아와 울고불고 난리였다”며 “어쩔 수 없이 행정실을 없애고 교실을 만들어 떨어진 아이들을 수용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더 이상 교실을 지을 공간이 없어 올해 신입생은 90명으로 줄였다. 2020학년도 신입생은 아예 추첨으로 뽑았다. 예비학생 195명이 지원했는데 이 중 105명만 추첨을 통해 입학 허가를 받았다. 2~6학년 초등과정도 추첨으로 이뤄진다. 그나마 자리가 나야 들어갈 수 있다. 학교 감사를 맡고 있는 김병준 하노이 우리은행 지점장은 “추첨은 학교 운영위원회 감시 아래 매우 엄격하게 진행된다”며 “대리 추첨도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중학교 이상은 ‘입시 전쟁’을 치러야 한다. 한 자리라도 나면 많게는 시험을 통해 학교자를 뽑는다. 경쟁률은 수십대 1이다. 몽골에서 하노이로 조만간 전근한다는 한 중견기업 임원은 “중3인 아들 교육을 위해선 한인학교가 가장 좋을 것 같아 학교에 문의했는데 자리가 없다고 해 어떻해야할 지 난감하다”고 말했다.
○ 베트남의 ‘학교 규제’에 발목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8/AB.20266245.1.jpg)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하노이 한인학교는 제2 캠퍼스를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학교 운동장을 줄이고, 그 자리에 신규 건물을 짓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교민들이 돈을 모아 자금도 마련했다. 하지만 인허가 문제에 발목이 잡혀 있다. 도장을 받아야할 관청이 교육부, 국토교통부, 하노이 시정부를 비롯해 층층시하다. 원활한 진행을 위해 대행사를 고용해 인허가를 진행 중이지만 최근 베트남 정부에 사정 바람이 불면서 이마저도 쉽지 않다.
최 교장은 제2의 대안으로 한인 밀집 지역 내 건물 임대를 추진하고 있다. 기존 건물을 교실로 개조해 중학교나 고등학교 등을 옮기는 방안이다. 인허가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쉬운 데다 기존 한인학교의 교육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이 크다. 운동장을 그대로 둘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 역시 장벽에 부딪혔다. 우리 교육부는 다른 한인학교와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하노이 한인학교와 교육부는 이 사안에 대해 이달 중순께 최종 결론을 낼 예정이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