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 세척제 국산화 성공 등
230여개 일반·전문 의약품 생산
[ 강태우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164568.1.jpg)
이 회사는 대형물류센터와 첨단 생산시설을 구축해 해외 대신 국내에서 경쟁력을 높이기로 했다. 2017년 65억원을 투입해 경기 광주에 물류센터를 준공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천안에 50억원을 투자해 의약품 제조공장을 증축했다고 24일 발표했다. 김 대표는 “천안공장에 10억원을 투자해 액제 생산시설과 무균 생산설비를 설치했다”며 “무균시설을 통해 병원용 무균 마취윤활제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빨간약’으로 잘 알려진 외피소독제(포비딘)를 비롯해 화상치료제, 치질연고, 방역용 의약품, 국소마취제 등 230여 개의 일반 및 전문의약품을 병원과 약국에 공급해 지난해 34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관장약은 국내 점유율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166529.1.jpg)
이 회사는 천안공장에 우수 의약품 생산시설(GMP)을 갖췄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한 GMP 시설에서 원료의 함량, 안전성, 유효성, 오염차단 등 엄격한 제조환경에서 제품을 생산한다. 지난 5월에는 일회용 치질치료제인 ‘치치엔 더블유(W)크림’을 출시했다. 2g씩 소형 용기로 만들어 한 번 사용한 후 버릴 수 있어 위생적이다.
이 회사는 올해부터 신제품 개발과 동남아시아 진출도 본격화하기로 했다. 김 대표는 “2024년까지 80억원을 투자해 천연물을 활용한 비만 및 항노화 제품 개발에 나서겠다”며 “2025년까지 수출 비중을 전체 매출의 40%까지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천안=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