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서'의 사전적 용법은 '두 가지 이상의 움직임이나 상태 따위가
동시에 겸하여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표준국어대사전).
이 풀이의 핵심은 '두 가지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있다.
[ 홍성호 기자 ]
“그는 1961년부터 명성여고 야간부 교사로 재직했다. 이때부터 그는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는 시를 쓰면서 대표적인 저항시인의 면모를 보였다. 군(軍) 시절 앓았던 간디스토마가 재발하면서 1969년 39세의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껍데기는 가라>로 잘 알려진 시인 신동엽이 세상을 떠난 지 올해 50주년이다. 그를 소개한 이 대목은 얼핏 보면 딱히 꼬집을 데 없는, 완성된 글이다. 하지만 곰곰 뜯어보면 거슬리는 데가 있다.
두 개 동작이 동시에 일어날 때 쓰던 말
간디스토마가 ‘재발하면서’ 세상을 떠났다? 이 표현이 어딘지 어색하다. ‘-면서’의 사전적 용법은 ‘두 가지 이상의 움직임이나 상태 따위가 동시에 겸하여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표준국어대사전). 이 풀이의 핵심은 ‘두 가지 동작이 동시에 이뤄짐’에 있다. “두 사람은 악수를 하면서 서로의 안부를 물었다” 같은 게 전형적인 쓰임새다.
‘재발하면서’가 쓰인 문맥은 좀 다르게 읽힌다. ‘간디스토마가 재발해 결국 세상을 떠났음’을 나타낸다. 두 동작은 시간차가 있으며 인과관계에 놓여 있다. 문장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그런 데서 연유한다. 독자에 따라 비문으로 보기도 할 것이다.
최근 이런 표현이 넘쳐난다. 아무 거리낌 없이 쓰고 독자들도 무심히 받아들이는 것 같다. 이를 어법의 변화로 봐야 할까? 아니면 잘못 쓰는 말이므로 적극적으로 바꿔 써야 할까? ‘-면서’는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나 상태를 겸하여 나타내는 것이 원래의 전형적 용법이다. ‘책을 주면서 말했다’ ‘사나우면서 부드러운 데가 있다’ 같은 게 그 예다. 1961년 나온 민중서림 간 <국어대사전>(이희승 편저)엔 그렇게 풀이했다. 이런 풀이는 이후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1991년)을 비롯해 금성판 <국어대사전>(1991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1999년)으로 이어져 왔다.
현실에선 인과관계 나타낼 때도 사용해
사례를 좀 더 살펴보자. ①정부는 ‘8·2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8년간 주택 수요를 충당할 공공택지를 수도권에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②정부가 ‘10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안’을 의결하면서 전국 지자체, 주요 호텔들이 관광객 유치에 뛰어들고 있다.
같은 ‘-면서’로 이어졌지만 구조와 의미는 전혀 다르다. ①은 하나의 주어에 두 개의 동작이 함께 벌어졌음을 나타낸다. ②는 주어가 두 개이면서 각각의 주어에 따른 서로 다른 동작이다. 의미상으로도 차이가 있다. ①은 선행절과 후행절이 동시에 이뤄졌음을 나타낸다. ‘대책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도 밝혔다’는 뜻이다. 전통적인 사전 풀이 그대로의, 정상적인 문장이다. 이에 비해 ②는 ‘A가 ~함에 따라 B가 ~하고 있다’는 뜻이다. 선행절이 먼저 이뤄지고 후행절이 뒤이어 이뤄졌다. 시간적으로는 선후관계이면서 의미적으로는 인과관계다. 하지만 이런 용법은 <표준국어대사전>의 ‘-면서’ 풀이로는 설명이 안 된다. 비(非)규범적 표현이라는 얘기다. 이는 오히려 어미 ‘-자’의 풀이와 용법에 가깝다. 이런 쓰임새가 특별히 거부감을 주지는 않는다. 이미 현실 어법으로 활발하게 쓰이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그렇다면 사전풀이를 보완하는 것도 검토할 만하다. 그래야 혼란을 줄일 수 있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2009년)은 기존의 용법에 ‘앞 절의 사실이나 상태, 동작 등이 원인이 돼 뒤 절의 결과로 이어짐을 나타내는 말’이란 풀이를 더했다. 이런 용법으로 보면 신동엽 시인의 ‘재발하면서’ 문장이 비로소 설명이 된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