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76.53

  • 20.62
  • 0.84%
코스닥

684.94

  • 6.75
  • 1.00%
1/3

"다른 사람이 쉬어가도록 나를 비워내는 게 미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단색화 대가' 박서보 화백
28년만의 대규모 회고전
국립현대서울관 129점 걸어



[ 은정진 기자 ] “어느 순간 서양 회화이론을 짜깁기하는 저를 발견하고 스스로 매질하기 시작했어요. ‘난 도대체 누구인가’ 반성한 끝에 미술은 ‘내 생각을 담아내는 게 아니라 나를 비워내야 한다’는 걸 깨달았죠. 그래야 다른 사람이 내 그림 안에서 쉬어가죠.”

한국 추상미술 대표 화가인 박서보 화백(88·사진)은 16일 개인 회고전을 앞두고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18일부터 오는 9월 1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1991년 이후 28년 만에 국내에서 여는 대규모 회고전이다. 초기작품인 ‘원형질’ ‘유전질’ 시리즈부터 올해 그린 대형 묘법 신작 두 점까지 박 작가의 삶과 작품 세계 전반을 아우르는 작품 총 129점을 선보인다.

박 화백은 1960년대 후반 팝아트에 기하학적 추상과 한국 전통 색감인 오방색을 사용한 ‘유전질’, 달 탐사와 우주에서의 무중력에서 영감을 얻은 ‘허상’ 연작 등을 선보였다. 이 중 ‘묘법’은 그의 단색화 중 가장 주목받는 연작이다. 1967년 첫 작품을 시작으로 1970년대부터 본격화한 ‘묘법’은 캔버스에 물감을 칠해 마르기 전에 연필과 같은 뾰족한 도구로 선을 그어 자국을 내거나 닥종이를 긁고 밀어붙이는 행위를 반복해 만든다.

그는 “‘묘법’이란 새로운 화법은 일상적인 경험에서 비롯됐다”고 털어놨다. “동양의 무소유나 무위자연과 같은 사상을 공부하면서도 줄곧 나를 비워내기 위한 미적 방법론을 찾을 수 없었어요. 그러던 중 세 살배기 아들의 모습을 봤습니다. 공책에 글씨를 지우고 다시 쓰는 것을 반복하다가 뜻대로 되지 않으니 결국엔 연필로 막 그어버리더군요. ‘이거구나’ 싶었죠.”

묘법 연작은 기존 회화 방식에 정면으로 도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아무것도 그리지 않은, 오히려 지운 것에 가까운 작품”이라며 “캔버스에 방한지를 붙여 그은 것을 보면서 비로소 이게 한국적인 작품, 나다운 작품이란 걸 깨달았다”고 설명했다. 박 화백은 추상화든 뭐든 시대를 담지 못하는 미술은 가치가 없다고 강조했다. “예술가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그저 체제나 교양, 철학을 담는 게 아니에요. 시대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을 식을 줄 모르는 작가의 열정으로 담아내는 거예요. 그것을 보고 사람들이 편안해지고 안정감을 갖는 게 미술의 역할이죠.”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