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hankyung.com/photo/201904/2019040489596_03.19310904.1.jpg)
"국내 홈쇼핑을 통해 판매되는 수입 명품가방은 필링크가 상당부분 들여왔다고 보면 됩니다. 지난달부터는 더 상위권의 명품 가죽제품이 들어와 국내에서 판매할 수 있게 됐습니다. 올해도 필링크의 고성장이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지난달 27일 서울 영등포 필링크타워에서 만난 서영운 대표(사진)는 2019년 필링크 매출이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필링크는 2018년에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전년 대비 197% 증가한 4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난해 4월 합병한 명품 병행수입업체 라프리마가 410억원의 연간 매출을 달성해 실적에 크게 기여했다. 필링크의 2018년 매출에서 해외패션유통 부문이 70%, 정보기술(IT) 부문이 30%를 차지했다.
병행수입이란 판권(전용사용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제3자가 해외에서 물건을 직접 사오는 것을 말한다. 필링크는 지난해 이탈리아 명품가방의 병행수입 물량을 대규모로 수입해 고성장할 수 있었다.
한국 증시의 상장사인 점, 판매 계획, 대규모 주문으로 이탈리아 도매상을 설득시킨 필링크는 수입한 명품 가방을 홈쇼핑에 풀었다. 예상대로 명품 수요는 많았고, 연일 매진을 기록했다. 필링크는 홈쇼핑의 명품백 시대를 열었다.
서 대표는 "최근의 소비는 아주 비싼 것이나 아주 싼 것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우리는 이같은 흐름에 맞춰 선제적으로 움직인 것 뿐"이라고 했다.
백화점의 성장을 명품이 주도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소비 양극화의 방증이다. 산업통산자원부에 따르면 명품이 국내 백화점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12.5%에서 지난해 4분기 19.8%까지 늘어났다.
서 대표가 2019년 성장을 자신하는 것은 지금보다 더 상위권의 명품 브랜드를 잡아서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904/2019040489596_01.19332329.1.jpg)
그는 "명품은 주문하고 제품을 받기까지 6개월 이상이 걸린다"며 "올해 판매할 물량에 대한 주문은 이미 지난해에 다 마쳤다"고 설명했다. 벌써부터 내년을 고민하고 있다. 5월까지는 주문해야 겨울에 제품을 받아서 내년에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 대표의 목표는 필링크의 매출을 3000억원대까지 높이는 것이다. 이 정도 수준의 구매력을 갖춰야 가격 협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도 더 합리적인 가격으로 명품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명품 병행수입 1위 기업인 우에니무역그룹이 선례다. 우에니무역그룹은 지난해 484억엔(약 5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거래처는 800여개에 달한다.
서 대표는 "거래처들이 우에니무역그룹을 중심으로 구매자금을 모아 보다 저렴한 가격에 명품을 들여온다"며 "우에니가 구매를 총괄한 이후 거래처들에게 명품을 뿌려주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필링크에도 명품 구매를 의뢰하는 국내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귀띔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904/2019040489596_03.19310900.1.jpg)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사진=최혁 한경닷컴 기자 choko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