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4.48

  • 1.43
  • 0.06%
코스닥

675.84

  • 2.35
  • 0.35%
1/3

미국 중앙은행, 글로벌 경기둔화 조짐에 ‘통화 긴축’ 포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뉴스 & 스토리

“올해 금리인상 없다” 시사…한국도 ‘경기 하락’ 경고음 커져



[ 김현석/김일규 기자 ] 미국 중앙은행(Fed)이 올해 추가 금리 인상이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보유자산 축소 프로그램도 오는 9월 말로 중단한다. 유럽·중국발 경기둔화가 미국으로까지 전이될 조짐을 보이자 ‘양대 긴축카드’를 거둬들인 것이다. Fed가 파격적인 통화 완화를 뜻하는 ‘슈퍼비둘기’로 돌아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Fed, 경기둔화 우려에 금리 동결

Fed는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2.25~2.50%로 동결했다. 또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dot plot)를 통해 올해 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작년 12월엔 올해 두 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으나 두 달 만에 크게 달라졌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소매판매와 기업투자, 고용증가와 같은 지표가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2015년 10월 금리 인상을 시작한 Fed는 작년엔 네 번이나 올렸다. Fed는 지난해 9월 FOMC에선 올해 3회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그러다 경기 둔화 우려로 작년 12월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2회 인상으로 줄였다. 이번엔 FOMC 위원 17명 중 11명이 올해 금리 동결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회의 전까지만 해도 한 차례 금리 인상 전망이 유지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지만 Fed는 한걸음 더 나아갔다. 골드만삭스는 “명백히 완화적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Fed는 이날 성명에서 ‘둔화(slow)’란 단어를 여러 번 썼다. 파월 의장은 “유럽과 중국 경제가 상당히 둔화했다”며 “이는 미 경제에 역풍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유동성 축소도 조기 중단키로

Fed가 돈을 푸는 양적완화(QE)로 4조5000억달러까지 불어난 채권 등의 보유자산을 줄이기 시작한 건 2017년 10월부터다. 처음엔 순조로웠다. 하지만 작년 말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시장 불안의 주범으로 꼽혔다. 파월 의장은 작년 12월 FOMC 회의 때 “자산 축소 프로그램은 오토파일럿(자동항법장치)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적절한 수준에서 유동성 회수가 이뤄질 것이라는 의미였지만 시장 불안은 더 커졌다. 파월의 변심은 빨랐다. 한 달 전 올해 4분기 중 자산축소 종료를 시사했던 그는 이번에 종료 시점을 9월 말로 앞당겼다. 양적긴축(QT)에 들어간 지 정확히 2년 만이다. Fed는 매달 500억달러 규모의 보유채권을 매각하고 있다. 국채 300억달러, 주택저당증권(MBS) 200억달러다. Fed는 당장 5월부터 국채 축소 물량을 300억달러에서 150억달러로 줄인다. 시중의 자금을 중앙은행으로 흡수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세계 금융시장에 ‘R(recession·경기 침체)의 공포’

미 국채의 장·단기 금리가 금융위기 이후 12년 만에 처음 역전되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R(recession·경기 침체)의 공포’에 휩싸였다. 통상 만기가 긴 채권은 불확실성을 반영해 금리가 더 높아져야 하는데, 10년 뒤 만기가 오는 채권이 지급하는 이자가 3개월 만기 채권보다 더 적은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독일 국채 금리는 2016년 10월 이후 2년 반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채권 금리의 하락은 채권 시장이 강세라는 의미로, 투자자들이 경기 불안으로 안전자산을 더 선호한다는 뜻이다. 세계 각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줄줄이 급락하는 등 침체 조짐이 깊어진 영향이 컸다. 독일의 3월 제조업 PMI 예비치는 44.7을 기록했다. 69 개월 만의 최저치로 예상치(48.0), 전월치(47.6)를 모두 밑돌았다. 유로존의 3월 합성 PMI 예비치도 51.3으로 예상(51.8)을 밑돌았다. 미국의 3월 마킷 제조업 PMI 예비치도 12개월 만의 최저 수준인 52.5로 예상(53.5)에 못 미쳤다.

한국도 ‘경기 하강’ 경고음 커져

한국도 ‘경기 하강’ 경고음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동안 경제를 이끌던 수출마저 감소하며 우려가 더 커지는 모습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1월 기준 10개월 연속 하락했다. 광공업생산 감소 등에 따른 것이다.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8개월 연속 떨어졌다. 구인구직비율 감소 탓이 컸다. 동행·선행지수가 동반 하락한 것은 8개월 연속이다. 이는 1971년 7월~1972년 2월 ‘1차 오일쇼크’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은 경기가 2017년 2분기께 정점을 찍고, 하강 국면으로 전환했음을 올 상반기에 공식 발표할 것으로 관측된다. 국제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1%로 낮췄다.

■NIE 포인트

기준금리의 의미와 기준금리의 인상·인하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리해보자. 채권과 시중금리의 상관성을 알아보자. 미국이 금리를 동결한 배경과 중국 유럽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의 최근 경제상황이 어떤지 토론해보자.

뉴욕=김현석 한국경제신문 특파원/김일규 경제부 기자 realist@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