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바로 알기 (7)
"남의 잔치에 감 놔라 배 놔라 한다"라는 말을 흔히 쓴다.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서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우리 속담이다.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이런 경향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홍성호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 홍성호 기자 ]
“남의 잔치에 감 놔라 배 놔라 한다”라는 말을 흔히 쓴다.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서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우리 속담이다.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이런 경향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우승은 따 논 당상”이라고도 한다.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이 없음을 나타낼 때 하는 말이다. 두 속담에 쓰인 ‘놔라/논’은 모두 기본형 ‘놓다’에서 온 말이다.
‘놓다’는 규칙활용…‘논’으로 줄지 않아
그런데 ‘놔라/논’ 형태를 보기에 따라 좀 낯설게 느끼는 이들이 있을 것이다. ‘놓아라/놓은’이라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놓아라’는 ‘놔라’로 줄여 쓸 수 있지만, ‘놓은’은 ‘논’으로 줄지 않는다. 틀린 표기라는 뜻이다.
우선 ‘놔라’부터 살펴보자. ‘놓다’는 규칙동사다. 활용을 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놓고/놓지/놓아/놓은/놓았다’ 식으로 어간인 ‘놓-’ 부분은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놓아’나 ‘놓아라/놓았다’ 같은 것을 ‘놔/놔라/놨다’로도 쓴다. 받침 ㅎ이 탈락하면서 말 자체도 줄어들었다. 이는 비슷한 형태인 ‘좋다’가 ‘좋아→좌’가 되지 않는 것을 보면 특이한 사례다. 그래서 한글 맞춤법에서도 이를 예외적인 현상으로 다뤄 그 용법을 인정했다. 맞춤법 35항에서 ‘놓다’가 어미 ‘-아’와 결합할 때 ‘놓아→놔, 놓아라→놔라, 놓았다→놨다’로 줄어들 수 있다고 따로 정했다. 두 가지를 다 쓸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놓은’을 ‘논’으로 줄여 쓰는 것은 안 된다. ‘놓다’는 규칙동사이기 때문에 활용할 때 어간의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이를 자칫 ‘논’으로 적기 십상인 것은 ‘놔라/놨다’ 같은 예외적 현상에 이끌린 탓이다. 하지만 이것이 틀렸다는 것은 같은 규칙동사인 ‘닿다/빻다/찧다’와 형용사 ‘좋다’ 등의 말을 활용해 보면 금세 확인할 수 있다. ‘좋은 사람’을 ‘존 사람’이라 하지 않는다. ‘존’은 ‘졸다’의 관형형이다. ‘곱게 빤 밀가루’가 틀린 까닭도 같다. ‘빻은’이라고 해야 한다. ‘빤’은 ‘빨다’가 활용한 꼴이다. 마찬가지로 관형형이 ‘논’인 말은 따로 있다. 동사 ‘놀다’가 그것이다. 이 말은 활용 시 ‘놀고, 놀면, 노니, 논’처럼 불규칙하게 어간이 바뀐다.
‘어떻게’는 부사어…서술어 있어야 문장 완성
용언의 활용법 가운데 ‘어떡해/어떻게’ 용법도 어렵게 느끼는 것 중의 하나다. 하지만 이 역시 활용 개념을 이해한다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어떡하다’와 ‘어떻다’에서 온 말이다. 우선 ‘어떻다’는 ‘어떠하다’가 준 말이다. ‘어떻게’는 그 ‘어떻다’가 부사형 연결어미로 활용한 꼴이다. 따라서 뒤에 반드시 서술어가 와야 한다. 가령 ‘나 어떻게’로 문장을 마친다면 서술어가 빠져 미완의 글이 된다. 문맥에 따라 ‘~해’ 따위를 추가해야 온전한 문장이 된다.
그럼 ‘어떡하다’는 무엇일까? 이는 ‘어떠하게 하다’가 줄어든 말이다. ‘어떻게 하다’를 거쳐 ‘어떡하다’가 됐다. 그 자체로 하나의 단어다. 그러니 ‘하다’ 동사의 활용을 따르면 된다. ‘어떡하고, 어떡하게, 어떡해, 어떡한다고’ 식으로 어근(‘어떡’)은 변하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준 것으로 그 자체가 종결 형태다. 문장의 끝에 와서 서술어 기능을 한다는 뜻이다. 간혹 ‘어떻해’ ‘어떡게’로 쓰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틀린 표기다. ‘어떻다’와 ‘어떡하다’를 활용해보면 그렇게 나올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ymt4@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