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15년 산업연관표 발표
5년새 부가가치율 39.5→42.7%
美·日·英 등에 비해 크게 낮아
[ 고경봉 기자 ] 2010년대 들어 한국의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눈에 띄게 개선됐지만 다른 선진국과는 여전히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국민소득(GNI)이 3만달러를 돌파했지만 선진국 대열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려면 산업 구조 고도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15일 이 같은 내용의 ‘2015년 기준년 산업연관표’를 발표했다. 산업연관표는 기준 연도가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바뀌면서 새롭게 작성된 것으로 해당 기간 한국 경제의 특징 변화를 반영한다.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2015년 한국의 재화와 서비스의 총공급(총수요) 규모는 4457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10년보다 18.6% 증가했다. 산업구조별로 보면 공산품 산출액 비중이 2010년 48.7%에서 2015년 44.5%로 줄었다. 반면 서비스는 40.3%에서 44.9%로 증가했다. 주요 산업의 서비스화가 진전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같은 기간 재화·서비스의 국산화율은 74.2%에서 78.3%로, 부가가치율은 39.5%에서 42.7%로 높아졌다.
하지만 부가가치율은 여전히 주요 선진국에 뒤처진 상태다. 미국은 56.9%에 달했고 일본(52.7%) 영국(52.5%) 등도 총산출액 중 부가가치 비중이 50%를 넘었다.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0.774로 0.8~0.9인 선진국은 물론 중국(0.802)보다 낮았다. 부가가치 유발계수가 0.7이면 총수요가 한 단위만큼 증가할 때 새로 유발되는 부가가치가 0.7단위라는 얘기다.
총산출액 중 중간재 수입액을 뜻하는 수입의존도는 12.4%로 주요국에 비해 크게 높았다. 미국과 중국은 4%대였고 일본(5.5%) 독일(9.8%) 영국(7.0%) 등도 한 자릿수였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