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분배 지표가 집계 후 최악으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1년 전보다 18% 급감했고 상위 20%(5분위)의 명목소득은 역대급 증가세를 보였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에서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2인 이상 가구)은 월평균 123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7% 감소했다. 감소폭은 3분기(-7.0%)보다 대폭 확대됐다. 4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통계집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크다. 근로소득은 36.8% 급감했다. 사업소득도 8.6% 줄어들었다.
차하위 계층인 소득 하위 20∼40%(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277만30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8% 줄어들었다. 3분기(-0.5%)보다 대폭 확대되면서 4분기 기준 통계집계 이후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중간 계층인 소득 상위 40∼60%(3분위) 가계의 소득은 1.8% 늘어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면 5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932만4000원으로 10.4% 증가했다. 이는 통계집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차상위 계층인 소득 상위 20∼40%(4분위) 가계의 명목소득 역시 4.8% 늘어 2012년 4분기(5.1%)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상하위 가계의 소득 격차가 벌어지면서 소득분배 상황은 4분기 기준으로 소득분배지표 집계가 시작된 2003년 이후 가장 악화됐다. 지난해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47배로다.1년 전(4.61배) 대비 0.86 상승했다. 처분가능소득이란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 지출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1분위 근로소득 급감은 취약한 한계일자리를 중심으로 고용상황이 악화한 게 큰 원인으로 보인다"며 "고용동향을 보면 4분기에 상용직은 증가했지만 임시직은 17만명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1분위 취업가구원수는 4분기 0.64명으로 2017년 4분기(0.80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반면에 5분위 가구는 상용직 고용상황이 좋은 데다, 취업가구원수가 2.02명에서 2.07명으로 늘었다. 임금도 상승하는 추세다.
1분위 소득급감 배경에 대해 김영훈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가구주 중 70세 이상 비중이 42%로 전년(37%)보다 크게 확대됐고, 이에 따라 무직가구 비중이 55.7%로 전년(43.6%)보다 급등한 게 영향을 미쳤다"며 "2017년 4분기 추경으로 노인일자리가 급격히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 가계의 소득은 증가세가 이어졌다. 4분기 전체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60만60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6% 늘었다. 증가율은 4분기 기준으로 2012년(5.4%) 이후 가장 높다. 가구소득 증가율은 2015년 3분기 이후 0%대 증가율에 머물렀다. 2017년 3분기 2%대로 올라섰고, 같은해 4분기부터는 3%를 웃돌았다. 지난해 2∼3분기에는 4%대를 기록했다.
명목소득이 늘면서 4분기 실질소득도 1년 전보다 1.8% 증가해 2017년 4분기 이후 5분기 연속 증가행진을 이어갔다. 실질소득은 2015년 4분기 이후 8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오다 2017년 4분기에 9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4분기 명목소득을 유형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 311만4700원으로 1년 전보다 6.2% 늘어나 4분기 기준으로 2012년(7.3%) 이후 6년 만에 최대폭 증가했다. 사업소득은 91만1300원으로 3.4% 감소해 2015년 3분기 이후 13분기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비경상소득은 55.3% 줄어든 3만7800원으로 나타났다. 비경상소득 감소폭은 4분기 기준 최대다. 비경상소득은 경조소득이나 퇴직수당과 실비보험을 탄 금액 등을 말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