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야크 등 아웃도어 브랜드
물량 두 배 늘렸지만 판매 감소
이왕이면 '명품 패딩' 산다
몽클레르·에르노·무스너클 등
100만원대 수입패딩 매출 22%↑
[ 안재광/민지혜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901/2019012939751_AA.18811480.1.jpg)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은 2017~2018년 겨울 시즌 롱패딩 열풍을 주도했다. 39만원짜리 ‘레스터’ 한 모델만 약 20만 장 팔았다. 국내 롱패딩 최다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번 겨울 시즌을 앞두고 디스커버리는 롱패딩 물량을 두 배로 늘렸다. 또 한 번의 ‘롱패딩 특수’를 기대했다.
기대는 빗나갔다. 롱패딩은 잘 팔리지 않았다. 준비한 40만 장 중 이달까지 절반 조금 넘게 판매됐다. 패션업체들이 봄 상품을 속속 출시하는 상황에서 설 명절 이전 재고를 털지 못하면 ‘헐값’에 시장에 내놔야 할 처지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작년 11~12월 디스커버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나 감소했다”며 “아웃도어 브랜드 상당수가 비슷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디스커버리, 백화점 매출 10% 넘게↓
![](http://img.hankyung.com/photo/201901/2019012939751_AA.18812865.1.jpg)
유통업계에 따르면 디스커버리를 비롯해 블랙야크 라푸마 아이더 등 작년 롱패딩 트렌드를 이끌었던 아웃도어 브랜드의 올겨울 매출이 일제히 하락했다.
지난해 롱패딩 열풍의 수혜를 가장 크게 봤던 디스커버리의 부진이 두드러진다. 이 브랜드는 롱패딩을 비롯한 패딩류 70만 장을 이번 겨울 시즌에 준비했다. 회사 측은 지금까지 70% 정도 판매됐다고 밝혔다. 아직도 20만 장 넘게 팔리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가격이 비싸고, 생산한 물량이 많은 롱패딩 재고가 상당수다. 백화점 등 주요 채널에서의 판매 부진 탓이다.
아이더는 이번 겨울 롱다운 생산량을 50%나 늘렸지만 지금까지 판매율이 58%에 불과하다. 작년 겨울 판매율(80%)에 크게 못 미친다.
롱패딩의 주요 판매처인 롯데 현대 신세계 등 국내 ‘빅3 백화점’에선 디스커버리의 이번 겨울 시즌 매출이 평균 10.5% 줄었다. 작년 11~12월엔 매출이 20% 가까이 빠진 백화점도 있다. 한 백화점 판매 사원은 “작년에는 롱패딩을 갖다 놓기가 무섭게 팔려나가 매장마다 물량 확보에 비상이 걸렸는데, 올해는 물량을 털어내느라 비상”이라고 말했다.
디스커버리뿐만이 아니다. 라푸마는 주요 백화점에서 20% 정도 매출이 하락했고, 블랙야크도 4~6%대의 ‘역성장’을 했다.
아웃도어 브랜드들이 체감하는 매출 부진은 더 심각하다. 수요 예측을 잘못해 작년보다 롱패딩 생산량을 1.5~2배가량 늘린 탓에 업체마다 최소 10만 장 안팎의 롱패딩 재고를 들고 있다. 한 패션업체 관계자는 “지나치게 롱패딩에 의존한 탓에 낭패를 봤다”고 털어놨다.
고가 수입 브랜드만 패딩 특수 누려
![](http://img.hankyung.com/photo/201901/2019012939751_AA.18812866.1.jpg)
패션 전문가들은 소비 트렌드 변화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올해는 롱패딩 열풍이 프리미엄 수입 패딩으로 옮겨갔다. 몽클레르 에르노 무스너클 등 100만원을 훌쩍 넘는 수입 브랜드가 인기였다. 작년 12월부터 이달 28일까지 국내 3개 백화점 평균 프리미엄 수입 패딩의 매출 증가율은 평균 22.4%에 달했다.
같은 기간 롯데백화점 본점 에비뉴엘관에선 이들 브랜드 매출이 30.5%나 뛰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지난 9일부터 닷새간 본점에서 수입 패딩을 할인 판매했는데, 첫날 주요 제품의 재고가 동 날 정도로 소비자가 몰렸다”고 전했다.
패션업계는 몽클레르 국내 판권을 보유한 몽클레르신세계의 경우 작년 매출이 처음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한다. 2017년 809억원 대비 25% 이상 성장한 셈이다.
안재광/민지혜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