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민간사업자 공모 착수
서울역 컨벤션센터 규모 줄이고
호텔·오피스텔 등 주거 비율 높여
용산병원, 의료시설 외 개발 허용
대전역, 상업시설+복합환승센터
광명역, 지하2~지상3층 주차빌딩
[ 선한결/최진석 기자 ]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서울역 북부·대전역·경기 광명역 인근 등 역세권 부지 세 곳과 서울 한강로 용산병원 부지 등을 개발하기 위해 민간사업자 공모에 나섰다. 도심 한복판 또는 지역 관문을 끼고 있는 알짜 부지여서 주변 부동산 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용산병원부지 개발 제한 풀어
18일 코레일은 대전역세권 등 보유 부지 네 곳의 민간사업자 공모를 냈다. 서울역북부 유휴부지, 대전역세권 부지, 용산병원 부지는 내년 3월 말까지, 광명역 B주차장 부지는 내년 2월 말까지 사업계획을 공모한다. 단독법인 또는 5개사 이하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참여할 수 있다.
이 중 서울 내 부지 두 곳은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보다 조건 등을 완화했다. 그간 낮은 수익성과 사업 제한 등을 이유로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해 개발이 지지부진하던 곳이다.
서울로7017~염천교 사이 서울역 북부역세권 유휴부지는 기존 계획보다 주거용 건물을 늘려잡았다. 이 부지는 중구 봉래동2가 122 일대 3만1920㎡다. 3종일반주거지역과 일반상업지역으로 구성됐다.
코레일은 지난 3월부터 서울시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사업계획을 논의해왔다. 6월 계획했던 컨벤션센터 규모는 대폭 축소하고 대신 호텔 2동, 오피스·오피스텔·레지던스를 1동씩 세우기로 방향을 바꿨다. 주거용 건물을 늘려 민자사업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사업 방식은 부지 임대를 기본으로 한다. 다만 민간사업자가 분양 및 매각을 제안할 수는 있다.
용산병원 유휴부지는 10여 년간 부지 개발 발목을 잡아온 의료시설 운영 제한 규정을 풀기로 했다. 이 부지는 한강로3가 65의 154 일대 1만948㎡다. 2011년 초 중앙대 부속병원이 문을 닫은 뒤 건물 12개 동이 공실로 남아 있다. 2008년 용산구가 부지를 종합의료시설 용지로 묶어 개발에 난항을 겪어서다. 코레일 등은 그간 종합의료시설 유치를 수차례 추진해왔지만 부지가 좁은 편인 데다 토지 가격 등 계약 조건이 까다로워 사업자를 찾지 못했다.
코레일과 용산구는 이 부지를 병원 외 다른 용도로도 개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부지 용도지역 상향과 종합의료시설 지정 폐지를 전제로 사업 계획서를 받는다. 코레일 관계자는 “종합의료시설 폐지는 용산구와 협의를 마쳤고, 서울시의 최종 인허가가 남았다”며 “민간사업자가 부지를 매수해 분양·임대사업을 할 수 있도록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역 부지 복합개발 추진
코레일 대전역 일원 부지도 복합시설 개발을 추진한다. 대전 동구 소제동 291의 2 일대 6만6334㎡가 대상이다. 대전역 복합2구역에 속해 있는 부지다. 이 중 3만2444㎡에 복합상업시설을 개발하고 1만4600여㎡에 환승센터를 건립한다. 민간사업자가 부지를 임대·매각받아 개발하는 방식이다. 복합상업시설 부지엔 대형 쇼핑몰, 엔터테인먼트시설, 호텔, 오피스 등이 입주하도록 할 계획이다. 환승센터엔 KTX, 대전지하철, 세종~대전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등의 노선을 배치한다. 충청권 대중교통의 중심축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경기 광명시 일직동 310의 1 일대 1만2740㎡ 광명역 B주차장 부지에선 주차빌딩 사업자를 공모한다. 민간사업자가 코레일 토지를 빌려 지하 2층~지상 3층, 연면적 5만1439㎡ 규모 건물을 개발한 뒤 30년간 운영하는 방식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사업성이 높아진 만큼 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한결/최진석 기자 always@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