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미워도 다시 한번"
美기업 실적 선진국 중 최고
중국 대규모 경기부양 기대
[ 김동현 기자 ] 미국과 중국 주식은 올해 예상보다 부진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내년에도 유망 투자처로 꼽힌다. 미국은 상장기업 실적 등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여전히 믿을 만하고, 중국은 내년에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기대돼 반등 기회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 들어 ‘글로벌 안전지대’ 역할을 해온 미국 증시는 4분기 들어 분위기가 급랭했다.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인 S&P500지수는 10월 이후 9.0% 떨어졌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내년 해외 주식 중 미국 주식을 ‘최선호주’으로 꼽고 있다.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있긴 하지만 기업 투자와 부동산, 소비 등의 지표가 양호하고, 내년 기업 실적 전망치도 선진국 중 가장 좋기 때문이다. MSCI지수 기준으로 내년 미국 상장사들의 주당순이익(EPS) 증가율 전망치는 10.1%다. 유로존(9.1%), 일본(3.8%) 등보다 높다.

중국 증시도 올해 미국과의 무역전쟁 여파로 수출이 타격을 입어 약세를 면치 못했다. 지난달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에 그쳤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집계하는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경기 위축과 확장의 기준선인 50까지 하락했다. 이에 따라 내년에 중국 정부가 증치세(부가가치세)율 인하와 대규모 인프라 투자 등의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중국 증시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홍록기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지방정부가 인프라 투자에 주로 쓰는 특수채를 대규모로 발행했다”며 “내년 중국의 고정자산 투자는 올해보다 약 8%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 증시에선 무역분쟁 영향이 덜한 보험·증권주, 인프라 투자 관련 소재주가 주목받을 것이란 전망이다.
신흥국 가운데 브라질과 멕시코 증시를 눈여겨봐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브라질 경제는 2015~2016년 최악의 침체국면을 벗어나고 있다. 브라질 경제성장률은 2016년 -3.46%였다가 지난해 1%로 높아졌다. 멕시코도 성장률이 높아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멕시코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을 각각 2.1%와 2.3%로 예상했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두 국가 모두 실물지표 개선이 이어지고 있다”며 “멕시코는 물가가 안정돼 금리 인하 등의 부양책을 쓸 여력도 있다”고 말했다. 브라질은 경기 회복에 따른 대출 증가로 금융주가 떠오르고 있다. 멕시코는 민간 소비 증가에 따라 ‘필수 소비재’가 유망 업종으로 거론된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