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연내 답방' 여전히 오리무중
靑 "어떤 통보도 받지 못했다"
"우리가 준비할 건 하겠지만 서두르거나 재촉하지 않겠다"
대통령·총리·통일장관 등 이번주 후반 일정 비워둬
"전격 답방 발표 배제 못해"
"최고 존엄 동선노출 꺼리는 北체제 특성상 가능성 있어"
[ 손성태/이미아 기자 ] 청와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과 관련해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는 계속 논의해 나갈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9일 “정부는 서울 정상회담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준비해 왔다”며 이같이 전했다. 청와대는 이날까지 김정은의 연내 답방에 별다른 진척이 없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선발대 방남 계획 등에 대해서도 “별다른 징후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평양공동선언에 대한 두 정상의 이행 의지는 분명하며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는 계속 논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지금까지 북한으로부터 연락 온 게 없다”면서 “북측에 메시지는 충분히 간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도 답방한다면 고려할 사항이 많기에 우리도 노심초사하지 않고 담담히 기다리는 것”이라고 전했다.
김정은의 결단이 늦춰지면서 서울 답방이 내년 초로 연기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청와대는 연내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우리가 준비할 수 있는 부분은 하겠지만 시점이 언제가 될 것이라 예측하고 못 박고 할 상황은 아니다”는 설명이다. 시점이 정해져 거기에 맞춰 준비하는 것은 아니며 사전 합의설도 일축하고 있다. 만약 갑자기 온다고 결정되면 프레스센터 없이 치러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까지 하고 있다.
김정은의 답방 시점과 관련, 12~14일 혹은 20일을 전후한 하순 초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측이 제기된 가운데 청와대는 구체적인 날짜를 제의한 적이 없다는 견해를 거듭 밝혔다. ‘최고 존엄’의 동선 사전 노출을 꺼리는 북한 체제 특성상 전격 발표 형태를 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외교가에선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외교안보 관련 부처 수장들이 이번주 후반 일정을 비워두고 있는 것과 관련, 김정은의 답방에 대비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계속해서 흘러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의 이번주 일정은 재외공관장 만찬 등을 제외하고 12~14일까지 비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예정된 일정은 상황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이낙연 총리도 13일 국정현안점검회의를 제외하면 14일까지 일정 조정이 가능한 업무들인 것으로 전해진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13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12~14일 공개 일정이 없다. 청와대 측은 연내 답방을 위한 북측 회신의 마지노선과 관련해선 “그런 것은 없다”며 “일단 답신을 기다리는 중이니 차분히 기다리는 것”이라고 했다.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와 관련, “일정은 고사하고 답방 날짜부터 깜깜이인데 세계 어느 민주국가의 정상회담 일정을 이렇게 잡느냐”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정부가 하는 모습을 보면 ‘우리 대통령의 연말 일정은 다 비워놓고 있다. 언제 오시든 모든 준비를 다 해놓고 기다릴 테니 날짜를 택일하시라’는 식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북한과 김정은 위원장의 특수성을 감안해도 민주국가로서 지켜야 할 최소한의 절차와 과정이 있고, 지켜야 할 자존심과 격이 있다”면서 “대통령과 정부의 자세 전환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손성태/이미아 기자 mrhand@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