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1조7461억원이 재원
국토부 심의 늦어져 집행 못 해
[ 최진석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812/2018120986561_AA.18444325.1.jpg)
9일 서울시와 국토부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탄천보행교 신설 기본계획을 끝으로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 내 모든 사업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을 마쳤다.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기본 및 실시설계 등 다음 단계는 공공기여금 집행이 이뤄져야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공공기여금 집행은 당분간 불가능할 전망이다. GBC 개발 사업이 수도권심의 단계에서 표류하고 있어서다. 시 관계자는 “수도권심의에서 의결돼야만 다음 단계인 건축 심의·허가 절차를 밟을 수 있다”며 “공공기여금은 건축 허가가 난 뒤 집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은 작년 12월에 이어 지난 3월과 7월 열린 수도권심의에서도 합격 통보를 받지 못했다. 지난달에는 수도권심의가 열리지 않았다. 이달에는 중순께 열릴 예정이다.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는 삼성동 코엑스와 잠실동 잠실종합운동장 일대 190만㎡ 부지를 개발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잠실종합운동장 주경기장 리모델링과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조성, 현대차 GBC 건립, 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복합단지 구축, 한강·탄천 시민 여가 공간 조성 등으로 구성됐다. 이 중 주경기장 리모델링, 유스호스텔 건립(총 사업비 2800억원)과 올림픽대로·탄천동서로 일부 구간 지하화 및 나들목 개선 등 도로 개선(6516억원), 탄천보행교 신설(409억원), 한강·탄천 정비 사업(507억원), 학생체육관 이전(700억원) 등은 모두 공공기여금으로 진행된다. 시 관계자는 “GBC 사업이 지연되면 잠실 일대 개발 사업도 연쇄적으로 차질을 빚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건립은 최근 기본설계 작업에 들어갔다. 국가철도교통망이 연계된 사업인 만큼 공공기여금 외에도 국비(4450억원)와 시비(1537억원), 교통개선대책 분담금(887억원) 등 다른 예산도 투입되기 때문이다. 시는 내년 2월까지 기본설계를 완료한 후 공사 발주에 나설 예정이다. 하지만 총 사업비 1조3000억원 중 공공기여금 비중이 30%에 달하기 때문에 GBC 사업 일정 지연이 장기화되면 이 사업 역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