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hankyung.com/photo/201812/201812042372f_01.18408351.1.jpg)
정태녕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사진 위)와 김옥준 신경과 교수팀(사진 아래)은 급성기 뇌내출혈 환자에게 세포 내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해 세포사멸을 줄이는 아포시닌 약물과 줄기세포(태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함께 쓰는 병용요법을 개발했다고 4일 발표했다.
정 교수팀은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할 때 아포시닌을 투여하면 세포 노화를 억제하고 분화를 증진시킨다는 기존 연구결과에 착안해 아포시닌과 줄기세포 병용요법을 개발했다.
아포시닌과 줄기세포를 함께 배양한 뒤 급성기 뇌내출혈 동물모델에 투여했더니 뇌출혈 덩어리인 혈종의 크기는 62.5% 줄었다. 혈종 주변 신경세포 손상은 59% 감소했다.
국내 사망률 3위를 차지하는 뇌졸중은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과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으로 구분된다. 뇌출혈은 뇌 속 혈관이 터지는 뇌내출혈과 뇌를 싼 막과 뇌 사이에 출혈이 생기는 지주막하출혈로 나뉜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812/201812042372f_01.18408352.1.jpg)
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줄기세포가 뇌내출혈 치료에 수술 보조요법이나 보전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며 "아포시닌 병용처럼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효능이 강화된 줄기세포 치료제를 제조할 수 있는 공정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뇌손상, 심정지 후 뇌허혈, 치매, 파킨슨병 등 기타 다른 뇌질환에도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전문 국제학술지 분자과학 저널에 실렸다. 연구팀은 새 치료법에 대해 국내 특허 출원도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