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 건강식품, 국내선 전문의약품
수면제와 달리 인지장애·중독성 없어
체리·보리·호두에 멜라토닌 성분 많아
[ 전예진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811/2018110253781_AA.18157631.1.jpg)
어린아이들은 신나게 놀다가, 밥을 먹다가 갑자기 꾸벅꾸벅 졸기도 하죠. 그런데 어른이 되면 잠을 못 이루고 뒤척입니다. 이유는 수면을 관장하는 호르몬 ‘멜라토닌’ 때문입니다. 멜라토닌은 밤이 되면 활발하게 합성돼 잠이 오게 해줍니다. 수면과 각성, 생체리듬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면역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멜라토닌은 나이가 들수록 감소합니다. 보통 55세가 넘으면 급격하게 떨어지는데 심하면 불면증이 오기도 합니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 먹는 멜라토닌 보충제들이 나와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돼 마트나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죠. 해외여행객의 시차 적응을 위해 공항 편의점이나 면세점에서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없습니다. 예전엔 해외직구를 통해 구입할 수 있었지만 통관금지품목으로 지정되면서 현재로선 직구도 불가능합니다. 멜라토닌 보조제를 애용했던 소비자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멜라토닌은 졸피뎀, 벤조디아제핀 성분의 향정신성 수면제보다 부작용이 적습니다. 이런 약물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혼돈, 환각, 중독 등의 부작용이 있는데요. 한 번 약물을 복용하기 시작하면 의존성이 생기고 기억력 감퇴, 치매 유발 등의 위험이 있어 단기 간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811/2018110253781_AA.14594543.1.jpg)
a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