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수가 전년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우려돼 정부 관계자들의 가슴을 졸이게 했던 9월 고용동향이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 9월 취업자 수는 2705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4만5000명 늘었다. 증가폭이 전월(3000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 일단 한숨은 돌리게 됐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여전히 고용상황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
비록 8월보다는 개선됐지만 9월 취업자 수 증가폭은 올 들어 세 번째로 적은 것이다. 그나마 추석과 관련한 특수와 폭염 해소라는 일시적 요인이 일자리 감소 추이를 조금 완화시켰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일자리의 질도 악화됐다. 제조업, 도·소매업, 음식 숙박업에서는 취업자가 줄어든 반면 농림어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는 늘었다.
실업자 수가 9개월 연속 100만 명을 넘었고 실업률(3.6%)이 9월 기준으로 13년 만에 가장 높아진 것도 예사롭지 않다. 고용률은 66.8%로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청와대가 “걱정했던 것보다는 다소 나은 결과이기는 하나 여전히 엄중한 상황”이라고 한 것이나 통계청이 “여전히 상황이 좋지 않다”고 본 것도 모두 이런 사정 때문일 것이다. 8월보다 개선된 9월 취업자 수만 보고 착시를 일으켜서는 안 되는 이유다.
또 한 가지 경계해야 할 것은 ‘정부발(發) 일자리 분식(粉飾)’ 논란이다. 정부는 지난주 기획재정부 주도로 각 공공기관 등에 채용기간 2개월~1년인 단기 일자리 수만 개를 만드는 것을 골자로 하는 지침을 보냈다. 공공기관 등이 중심이 돼 체험형 인턴, 아르바이트 등 임시직 또는 일용직 일자리를 만들어내라는 것이다. 고용지표가 악화일로로 치닫자 단기 임시 일자리를 급조해 고용통계를 반짝 개선시키겠다는 의도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전부터 정부가 공공기관에 일자리를 닦달해 온 만큼 이런 부분이 9월 통계에 반영됐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향후 통계에는 더 많이 포함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일자리는 예산만 축내다 시간이 지나면 사라져 버린다. 정부는 당장 욕먹지 않을 궁리만 할 게 아니라 안정적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고민하기 바란다. 그런 일자리는 기업이 맘 놓고 뛸 수 있을 때 만들어진다는 점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