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선진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진 과정에서 급격한 자본이동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이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4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BOK 국제콘퍼런스 개회사를 통해 "각국의 금융과 교역이 긴밀하게 연계돼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2013년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Taper tantrum) 당시 미국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에 대한 신호가 신흥국에서의 급격한 자본유출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했다"며 "최근에도 미국 금리상승과 달러화 강세가 일부 신흥국 금융불안의 원인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현재 시장에선 미국 중앙은행(Fed)이 오는 12∼13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총재는 중립금리가 금융위기 이전보다 상당 폭 낮아진 것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중립금리란 경제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금리수준을 말한다. 통화정책의 기조를 평가하는 데 가늠자 역할을 해주는 금리다.
이 총재는 "중립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했을 때 정책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여지가 줄어들게 된다"며 "그렇게 되면 정책금리가 하한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돼 경기변동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중립금리가 낮아진 배경으로는 인구고령화, 생산성저하, 안전자산 선호 성향 등 주로 장기 추세적 요인을 꼽으며, 앞으로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이러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겠다"며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에 도달했을 때 다양한 비전통적인 정책수단(대규모 자산매입, 포워드 가이던스, 마이너스 금리)들을 동원했던 만큼 이 수단들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면밀히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비전통적 정책수단이 기축통화국이 아닌 나라에서도 활용 가능한지, 그렇지 않다면 어떠한 정책대안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판단이다.
그는 또 통화정책의 한계를 감안해 다른 정책과의 조합을 적극 도모할 필요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재정정책을 완화적 통화정책과 함께 확장적으로 운영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거시경제의 안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통화정책 또한 주요 목표인 금융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거시건전성 정책과의 공조가 절실하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정책효과를 높이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노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앙은행은 적극적인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책 불확실성을 낮추고 경제주체들의 기대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온라인 언론과 소셜미디어의 확산 등 정보환경이 크게 변화된 점을 감안해 효과적인 소통전략을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40억 "이것"통해 벌었다는 남성 알고보니 "개인파산"한 개그맨 A씨?
2분기 이끌 新대장주 BEST 5 억대계좌 이종목에서 또 터진다! >> [바로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