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64.68

  • 8.77
  • 0.36%
코스닥

677.41

  • 0.78
  • 0.12%
1/3

1급 발암물질 '라돈 침대' 파장 일파만파…"예방할 수 있었던 인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대진침대에서 기준치보다 최대 9배가 넘는 피폭선량이 측정됐다고 밝혀짐에 따라 일명 '라돈침대'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선 라돈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라돈은 색깔과 냄새가 없는 비활성 기체 원소로 라듐의 방사성붕괴로 생기는 중방사성 기체다.

지난 2009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방사능 물질인 라돈 가스가 전체 폐암 발병 원인의 최대 14%에 달한다고 발표, 조사 안전 기준치를 당시 현행보다 10배 강화했다.

특히 WHO는 환기가 어려운 겨울에 라돈 수치가 높아질 경우가 높다며 자주 환기를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하지만 라돈 침대의 경우 환기나 교체가 용이한 제품이 아니기에 더욱 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라돈침대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회적 참사 특조위)가 나섰다.

이들은 17일 서울 중국 포스트타워에서 '라돈 방사성 침대 관련 현안 점검회의'를 열고 "라돈 방사성 침대에 관해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안전 사회를 구현해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점검회의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소비자원 등 정부의 관계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현안에 대해 보고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양순필 특조위 안전사회소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오늘 회의는 관련 부처 책임자들로부터 현안에 대한 보고를 듣는 자리로, 성토하거나 질타하는 자리가 아니다"고 했지만, 회의가 진행될수록 곳곳에서 격앙된 목소리가 나왔다.

안종주 특조위 위원은 "가습기 살균제 사태와 이번 라돈 침대 사태는 매우 유사하다"며 "우리가 예방할 수 있었던 문제지만, 큰 사태로 번졌다"고 지적했다.

안 위원은 "이번 현안 점검회의를 계기로 범정부적인 종합 대책이 세워져야 한다"며 "지금 가지고 있는 정보들도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성칠 특조위 위원도 "현재 어느 정도 수준에서 정부가 대응하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일단 중요하다"며 "최종적으로는 향후 대책까지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전문가 자격으로 참여한 조승연 연세대 교수(라돈안전센터장)는 "개인적으로 라돈 연구를 20년간 해왔는데 이번에 국민이 받은 충격이 가장 큰 거 같다"며 "국민이 이번 사태를 사고로 판단하는데, 정부는 라돈으로 인해 폐암에 걸릴 경우 피해자들에게 얼마만큼 보상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경복 김포대 교수는 "이번에 라돈 측정할 때는 원안위 단독으로 했지만, 앞으로는 민간 라돈 전문기관과 같이해야 한다"며 "가습기 살균제 사태처럼 정부에서도 어떤 대책 같은 것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날 회의에는 '라돈 침대' 사용자들도 나와 정부 관계자들을 질타했다.

세종시에 거주하는 배 모 씨는 "2013년 11월에 혼수로 침대를 샀는데 매트리스는 그쪽에서 제공한 걸 사용했다"며 "대학병원 간호사로 일할 때도 방사능에 노이로제가 있어서 아기를 생각해 일을 관뒀는데, 이런 일이 생길 줄은 몰랐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배 씨는 "이번 일이 있고서 모유 수유도 끊었지만, 그동안 아이는 이미 같은 침대에서 먹고 자고 놀았다"며 "원안위나 환경부는 물질별로 소관 기관이 다르다며 전화할 때마다 상대방에 넘기기 일쑤였다"고 비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