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 고평가 심해" vs "美도 초기엔 PER 높았다"
유진證 '바이오 버블 보고서' 이후
셀트리온·한미약품 등 10%대 급락
한투證 "美도 한때 PER 360배
과거보다 국내기업 기술력 뛰어나"
[ 오형주 기자 ] 증권가에서 ‘바이오 거품론’을 둘러싼 논쟁이 뜨겁다. 지난 18일 ‘국내 바이오주가 지나치게 고평가됐다’는 한 보고서가 시장에 찬물을 끼얹자 이번엔 다른 증권사 보고서가 거품론을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2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셀트리온은 2000원(-0.8%) 하락한 24만8500원에 마감했다. 17일만 해도 29만원이었던 셀트리온 주가는 다음날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이 ‘바이오 버블’을 경고하는 보고서를 낸 이후 속절없이 떨어졌다. 이 기간 셀트리온(-14.3%)뿐 아니라 삼성바이오로직스(-14%) 한미약품(-10.7%) 등 주요 바이오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바이오주의 거품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에도 점차 힘이 실렸다.
하지만 이는 지나친 ‘기우(杞憂)’라는 반론도 적지 않다. 진흥국·정은영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이 24일 낸 ‘과거보다는 미래를 보자’는 제목의 보고서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바이오 버블은 유독 한국에서만 도드라졌다”는 거품론을 주가수익비율(PER), 실적, 기술력 등 항목별로 미국 바이오기업의 전례와 비교하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거품론자들은 국내 주요 바이오주의 PER이 평균 60배에 육박해 미국 바이오기업(15배)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 버블의 대표적 징후로 본다. 이에 진 연구원 등은 “미국 바이오주의 PER이 낮은 이유는 기업규모가 너무 커져서 주당순이익 증가율 등 성장성 지표가 둔화됐기 때문”이라며 “이들도 초기엔 한국처럼 PER이 매우 높았다”고 주장했다. 셀젠 바이오젠 암젠 길리어드사이언스 등 미국 주요 바이오주는 한때 PER이 최대 360배에 달했으나 지금은 10~15배 수준으로 수렴했다.
신중론자들은 “국내 바이오기업 상당수가 제대로 된 매출을 올린 적이 없는 데다 적자에 시달리는데 시가총액이 너무 크다”고 지적한다. 반면 진 연구원 등은 “미국에서도 적자를 내고 있지만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가치를 인정받아 시총이 큰 기업이 많다”고 주장했다. 바이오마린(145억달러) 앨나일람파마(97억달러) 베이진(90억달러) 블루버드바이오(85억달러) 등은 지난해 모두 순손실을 봤지만 시총이 80억달러를 넘었다는 것이다.
바이오주를 움직이는 재료에 실체가 없다는 주장도 단골로 거론된다. 거품론자들은 바이오 주가가 신약 임상시험이나 기술수출 협상 등 불확실한 미래에 근거해 움직인다고 비판한다. 진 연구원 등은 “과거엔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 승인 소식만으로도 주가가 움직였지만 지금은 글로벌 임상은 들어가야 비로소 오른다”며 “일부 수출계약까지 간 사례도 있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 바이오주의 기초체력은 과거보다 훨씬 튼튼해졌다”고 반박했다.
다만 한국과 미국은 시장 크기나 연구개발(R&D) 경쟁력 등이 다르다는 점에서 국내 기업이 미국 기업의 길을 따라갈 것이란 가정은 적절치 않다는 재반론도 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높은 진입장벽을 넘어야 하는 국내 기업이 이미 세계 최대시장에서 터를 잡고 있는 미국 기업과 향후 성장경로가 같을 순 없다”고 말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