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44.10

  • 14.32
  • 0.52%
코스닥

858.96

  • 3.23
  • 0.37%
1/2

'꼬았더니' 공이 더 멀리 똑바로 나가네!… 미스샷 확률 낮춘 '포테이토 칩' 페이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꼬았더니' 공이 더 멀리 똑바로 나가네!… 미스샷 확률 낮춘 '포테이토 칩' 페이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2018 '신병기' 탐구

테일러메이드 '트위스트 드라이버' M3·M4



[ 이관우 기자 ] 드라이버 페이스는 평평하지 않고 둥글다. 골프공이 페이스 정중앙에 잘 맞지 않고 주변에 맞는 경우가 워낙 많다 보니 클럽제조사들이 연구를 거듭한 끝에 배불뚝이(bulge&roll) 페이스를 개발했다. 공이 페이스 중앙이 아니라 주변에 맞는 미스 샷이 발생할 때 공이 출발할 방향을 미리 ‘오조준’해 놓은 것이다.

공이 토에 맞았을 때 훅 구질이 나올 확률이 높다. 반대로 힐 쪽에 맞으면 슬라이스 구질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공과 클럽 페이스 표면이 서로 촘촘히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효과’ 때문이다. 공이 토에 맞으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힐에 맞으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게 기어효과다. 배불뚝이 페이스는 공이 토에 맞을 경우 처음에는 오른쪽으로 공이 날아가다가 끝에서는 타깃 쪽으로 돌아오게 해 악성 훅 구질을 드로 구질로 완화해 준다. 또 힐에 공이 맞으면 왼쪽으로 출발하도록 했다가 끝에서는 타깃 쪽으로 돌아오게 해 악성 슬라이스를 페이드 구질로 보정해준다.


테일러메이드가 지난 17일 공개한 2018년형 드라이버 M3와 M4는 이 ‘혁신 기술’의 숨어 있던 단점까지 찾아 보완함으로써 제품 완성도를 ‘진화의 단계’까지 끌어올렸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제품 개발을 담당한 토드 비치 테일러메이드 기술연구담당 수석부회장은 “50만 회의 스윙 실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토 상단과 힐 하단에 공이 맞는 골퍼가 훨씬 많았는데, 스윙 로봇과 달리 사람은 토에 맞을 때는 더 닫아 치고, 힐에 맞을 때는 더 열어 치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배불뚝이 효과를 상쇄한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런 ‘발견’에서 탄생한 3세대 페이스가 ‘트위스트’다. 토 상단은 기존 제품보다 더 열린 각도로, 힐 하단은 더 닫힌 각도로 제조한 것이다. 토 상단에 공이 맞으면 좀 더 우측으로 출발했다가 돌아옴으로써 악성 훅이 날 확률을 줄여주고, 힐 하단에 맞으면 좀 더 좌측으로 출발했다가 가운데로 돌아오게 돼 악성 슬라이스 확률을 줄여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토 하단과 힐 상단은 공이 접촉하는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변화를 주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생겨난 모양이 ‘감자 칩’ 같은 페이스다.

비치 부회장은 “토와 힐에 맞는 미스 샷도 똑바로 날아갈 확률이 높아지면서 샷 분산도가 50%가량 줄었다”고 강조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6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