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62.10

  • 20.42
  • 0.76%
코스닥

845.84

  • 1.12
  • 0.13%
1/3

소득 많을수록… 남성 '뚱뚱' 여성 '날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소득 많을수록… 남성 '뚱뚱' 여성 '날씬'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한국인 비만백서 발표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 판정
비만율 제주 최고·서울 최저



[ 이지현 기자 ] 국내 성인 세 명 중 한 명이 비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영유아와 성인 모두 비만율이 꾸준히 높아졌다. 남성은 소득이 많을수록, 여성은 적을수록 비만 위험이 높았다.

31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이 발표한 ‘2017 비만백서’에 따르면 국내 성인 비만율은 25.58%로 조사됐다. 고도비만(4.38%), 초고도비만(0.37%)을 포함하면 우리 국민의 33.55%가 비만이었다. 비만은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을 말한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이 수치가 30 이상이면 고도비만, 35 이상이면 초고도비만으로 정의한다. 건보공단은 지난해 일반건강검진 및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1395만 명과 영유아 252만 명의 검진 기록을 토대로 비만율을 산출했다.


비만은 노동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의료비 부담을 늘린다. 고도비만의 당뇨 발생 위험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4.8배 높다. 갑상샘암, 폐색전증으로 사망할 위험도 커진다. 이 때문에 2013년 기준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6조8000억원에 이른다. 비만으로 인한 진료비 부담만 4조4000억원이다. 2005년 1조7000억원에서 2.6배 늘었다.

여성과 남성의 비만 양상이 달랐다. 국내 성인 여성 중 정상체중은 50.03%였지만 남성은 29.99%에 불과했다. 성인 남성 41.29%가 비만이었다. 특히 30대 남성은 고도비만 및 초고도비만율이 7.6%로 전체 연령 중 가장 높았다.

남성은 소득이 많을수록 비만율이 높았다. 여성은 반대였다. 시도별로 보면 제주 비만율이 가장 높았고 서울이 가장 낮았다. 시·군·구는 충북 청원 비만율이 43.04%로 가장 높았다. 서울 강남구 비만율은 23.62%로 전국에서 가장 뚱뚱한 사람이 적은 지역으로 꼽혔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