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월성1호기 조기폐쇄… 원전 24기→18기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월성1호기 조기폐쇄… 원전 24기→18기로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8차 전력수급계획

2030년 탈원전 로드맵

석탄발전 비중 36.1%로 축소
삼척 포스파워 예정대로 추진
신재생은 6.2→20%로 확대



[ 이태훈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14일 공개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2017~2031년)에는 탈(脫)원전·탈석탄 정책의 구체적인 로드맵이 담겼다.

산업부는 전체 발전량의 45.3%를 차지하는 석탄화력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36.1%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원자력발전 비중도 30.3%에서 23.9%로 줄인다. 같은 기간 신재생발전 비중은 6.2%에서 20%로, 액화천연가스(LNG) 화력발전 비중은 16.9%에서 18.8%로 각각 늘린다.

석탄발전을 줄이기 위해 건설된 지 20년 이상 된 태안 1·2호기, 삼천포 1·2호기를 2030년까지 LNG발전소로 전환한다. 석탄발전소로 지어지던 당진에코파워 2기는 용량을 확대(1.2GW→1.9GW)해 LNG발전소로 바꾼다. 내년부터 30년 이상 가동된 석탄발전소에 대해 봄철(3~6월) 가동 중지를 정례화한다.

다만 정부가 LNG발전소 전환을 추진했던 삼척 포스파워 석탄발전소 1·2호기는 예정대로 석탄발전소로 짓기로 했다. LNG발전으로 짓기에 입지가 적합하지 않고 지자체와 주민이 석탄발전소 건설을 요청하고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현재 24기(22.5GW)인 원전은 2030년까지 18기(20.4GW)로 줄어든다. 문재인 대통령이 조기 폐쇄를 공약했던 월성 1호기는 2018년부터 조기 폐쇄 수순에 들어간다. 월성 1호기의 설계수명은 2022년 11월까지다.

산업부는 신규 원전 6기(천지 1·2호기, 신한울 3·4호기, 건설 장소 미정인 2기) 건설 중단도 공식화했다. 노후 원전 10기에 대해서도 수명연장을 금지하겠다고 설명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