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hankyung.com/photo/201712/2017120834661_AA.15362675.1.jpg)
이 설문조사에서 제주도민들은 4·3 사건 해결에 대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에 대해서 부정적 평가가 33.7%로 긍정적인 평가 19.2%보다 높았고, 특히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될 과제에 대해 4·3 사건 당시 행방불명된 사람에 대한 진상조사와 희생자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추가 발굴을 1, 2순위로 꼽았다.
4·3 사건은 해방 후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좌익과 그것을 막으려는 우익의 충돌로 무고한 제주 양민이 학살된 사건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12/2017120834661_01.15403278.1.jpg)
그동안 미 군정을 등에 업고 친일 경찰이 무력으로 양민을 탄압하고 폭행하다 이 일이 큰 계기가 돼 4·3 사건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 과정에서 6·25전쟁 다음으로 많은 3만 여명의 무고한 희생자가 발생했는데도 제주 도민 외에 4·3 사건에 대해 제대로 아는 사람이 드물다는 것은 우리 역사교육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다.
내년이면 4·3 사건이 일어난 지 70년이 된다. 그동안 행방불명된 사람에 대한 진상조사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건 역사 청산에 대한 노력이 얼마나 부족했는 지 보여주는 증거다. 4·3 사건 희생자 유족들이 원하는 건 기념 공원을 짓고 비석을 세우는 일이 아닐 것이다. 4·3 사건에 대한 해결은 제주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가 나서야 할 숙제라고 생각한다.
요즘 적폐청산이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은폐된 역사를 널리 알리고 바로 잡는 것이야말로 꼭 필요한 적폐청산의 한 과정이 아닐까?
손효정 생글기자(제주브랭섬홀아시아 10학년) sonhyojung01932@branksome.asia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한경닷컴, 기업 대상 '2018년 환율전망 및 금리전망 세미나' 오는 12월 12일 KDB산업은행과 공동 주최!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