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3

"한국·일본 스마트시티 건설, 중국보다 뒤처졌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갈길 먼 스마트시티

한·중·일 공학석학 400여명에
3개국 스마트시티 실태 설문

"중국, 스마트시티 진척 가장 빨라
한국·일본은 여전히 구상단계 머물러"

한국·일본 공학자 가장 큰 장애물로
정부 부처간 정책 비효율성 꼽아



[ 박근태 기자 ]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는 최근 중국 내 스마트시티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베이징은 2012년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로 선정된 것을 계기로 베이징 전역에 사물인터넷(IoT)을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상하이는 2011년과 2014년 두 차례 스마트시티 건설 행동 계획을 발표하고 브로드밴드와 IoT, 광대역무선랜, 빅데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실증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중국이 이처럼 스마트시티 건설에 속도를 내는 건 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한몫했다. 중국 정부는 중국 전역에 500개 스마트시티를 짓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의 상황은 많이 다르다. 한국과 일본의 공학계 전문가들은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과정에서 가장 큰 장애로 정부 정책을 꼽았다.

한·일 스마트시티 장애 요인은 ‘정부’

26일 한국공학한림원·중국공정원·일본공학한림원 등 3개 기관이 공동으로 세 나라 공대 교수와 산업계 회원 410명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에 따르면 한국 공학계 전문가 10명 중 3명(33.5%), 일본 전문가 10명 중 2명(21.3%)은 스마트시티 건설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민관 및 정부 부처 간 낮은 효율성’을 꼽았다. 반면 중국판 공학한림원인 중국공정원 회원들은 정부 규제보다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부족(31.9%)을 중요한 장애 요소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시티는 ICT를 이용해 도로·전력·물·환경 등의 인프라 시설과 도시의 각종 서비스가 연결되는 고효율·친환경 도시를 말한다. 중국은 물론 한국과 일본은 스마트시티를 주요 수출 상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자국 내 실증 도시를 짓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한·중·일 공학자와 기업인이 자국의 스마트시티 기술 현황에 대한 평가를 비교한 것은 처음이다.

중국은 이번 조사에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진척 속도가 가장 앞섰다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9.1%는 중국이 이미 실증 단계거나 구축 단계에 들어갔다는 평가를 내렸다. 반면 한국 전문가들은 42.4%, 일본은 55%가 아직 구상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교통 가장 빠르게 발전

일본은 도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일본은 요코하마를 저탄소 녹색도시로 바꾸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일본에서 가장 규모가 큰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다. 요코하마시는 지역 건물을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에 연결하고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도입해 상업시설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20%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일본 도요타와 도시바, 샤프 등 주요 기업은 일본 중부의 자동차 메카인 도요타시에서도 친환경차와 스마트홈을 보급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도시에 보급된 67채의 스마트 주택은 태양광 패널과 에너지저장장치(ESS),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갖추고 있는데 일반 주택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3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시티가 주목받는 건 급격한 도시화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대안이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도시 인구는 1950년 약 7억5000만 명에 불과했으나 2050년에는 63억4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석유와 액화천연가스(LNG) 소비량은 1990년 81억4000만TOE(석유환산톤)에서 2035년 171억6000만TOE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중·일 3개국 전문가들은 스마트 교통 분야를 가장 빠르게 발전시켜야 한다고 봤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도 지난해 스마트시티의 핵심 요소로 ‘이동성’을 꼽았다. 세 나라 응답자의 절반이 그렇게 답했다. 스마트 교통은 ICT를 활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과 교통 정체를 줄이는 빅데이터 분석, 차량 공유서비스가 확산하면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세 나라 전문가들은 가장 협력이 시급한 분야로 ‘자율주행차·전기차 등 스마트 커넥티드 에코 모빌리티’와 ‘신재생에너지’를 선택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