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급감’은 최근 자주 들리는 뉴스다. 지난 6월과 7월 3만 명을 밑돌아 충격을 준 출생아 수는 8월 이후에도 더디게 회복되고 있다. 올해는 출생아 수가 처음으로 40만 명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970년대 우리나라 연간 출생아 수가 100만 명이던 것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태어나는 아이는 줄어드는데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꾸준히 늘어 작년 말 670만 명을 돌파했다. 그 결과 고령 인구가 유소년 인구(0~14세)를 추월했다. 이렇게 저출산고령화가 계속되면 우리나라 인구구조와 사회는 어떻게 바뀔까.
한국보다 20년 먼저 저출산고령화를 경험한 일본은 저출산과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단기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2007년에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은 ‘인구 자연 감소 시대’를 맞았고 작년에는 1899년 이후 처음으로 출생아 수가 100만 명을 밑돌았다.
인구구조 변화를 겪으면서 일본은 출산과 유소년 관련 비즈니스가 줄어들고 시니어를 공략하는 사업이 급부상하고 있다. 많은 산부인과가 폐업했으며 초중고교의 폐교 숫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대학교는 신입생 정원 미달로 오랜 기간 구조조정의 터널을 지나고 있다. 반대로 사망자 수가 늘면서 장례, 상속·증여, 유품 정리 관련 사업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국민 행복과 직결되는 사회보장 제도도 직격탄을 맞았다는 점이다. 젊은 층이 많고 고령층이 적은 인구구조를 전제로 만들어진 기존 시스템이 한계를 드러내면서 연금, 의료비, 장기요양비 등과 관련한 재정 지출이 천문학적으로 증가했다. 이로 인해 일본의 재정 적자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우리에게도 결코 먼 얘기가 아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12년 뒤인 2029년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추월해 2031년이면 인구가 자연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런 인구구조 변화는 국가의 힘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국가가 사회보장 시스템을 재정비하는 동안 개인은 나름대로 자신의 노후를 설계해야 한다.
갈수록 늘어나는 노후 생활자금에 의료간병비까지 더 꼼꼼한 대비를 시작해야 할 때다.
류재광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수석연구원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