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호주 경제인들의 엊그제 브리즈번 회의는 우리 에너지정책과 관련해 의미 있는 행사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현지 호주·한국경제협력위원회(AKBC) 합동회의에서 한국의 경제계 인사 54명은 액화천연가스(LNG)의 수출물량 유지를 거듭 부탁해야 했다.
이렇게 다급해진 건 세계 2위 LNG 수출국인 호주가 지난 7월부터 ‘가스공급 안정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출 물량 외에 국내용도 충분히 생산하면서도 호주 정부는 ‘필요시 수출물량을 제한한다’는 방침을 이 정책에 담았다. LNG 수입계약은 대개 중장기여서 당장은 별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기존 계약이 끝나는 2025년 이후의 물량확보가 걱정이 돼 에너지 관련 기업인들이 나선 것이다. 호주 LNG는 지난해 한국 수입물량의 15%(2위)를 차지했다.
LNG 물량확보 위기감은 6월에도 있었다. 한국의 수입물량 중 37%(1위)를 공급해온 카타르가 인근 수니파 7개국과 갈등으로 초긴장 사태를 빚으면서 비롯됐다. 국제정세에 따라 가격급등 요인이 늘 잠재돼 있는 게 에너지 자원이다.
호주의 ‘국내안정대책’이나 카타르 사태는 우리가 예상도 못 한 일이다. ‘탈(脫)석탄, 탈원전’으로 에너지정책을 바꿀 때는 이런 점까지도 감안해야 한다. 정부가 석탄발전소를 LNG발전소로 설계변경할 것을 압박하면서 논란이 된 ‘삼척 포스파워 1, 2호기’와 ‘당진 에코파워 1, 2호기’ 건설에서도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탈원전 정책의 일환으로 태양광 발전 비중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에서도 마찬가지다. 신재생에너지로의 다변화는 필요하지만 태양광 발전에는 부지확보, 환경훼손 논란, 전력배송망 건설 문제 등 장애물도 한둘이 아니다.
안전하면서 경제성도 좋고 물량확보도 쉬운 에너지는 없다. LNG가 오염요인은 적다지만 가격과 물량확보 등으로 국제시장에 변수가 많다. 더구나 한국은 LNG를 전량 수입하고 있고, 그나마도 몇몇 나라에 의존하고 있다.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