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 조기상환 의지
[ 이현일 기자 ]

이동빈 수협은행장(사진)은 25일 서울 신천동 본사에서 취임식을 하고 “은행 역량을 영업 활성화에 집중시키고 영업 성과 우수직원에 대한 보상과 우대제도를 확대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수협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786억원이었다.
이 행장은 수협은행이 지난해 12월 수협중앙회에서 분리돼 은행 주식회사로 새출발하면서 시중은행과 본격적인 경쟁을 할 기반을 갖췄다고 판단했다. 수협중앙회에서 분리되기 전엔 조합 신용사업부 형태여서 조달금리가 높았다. 이 때문에 금리 경쟁력이 핵심인 가계대출 시장에서 시중은행과의 경쟁이 어려웠다. 시중은행 대부분은 전체 대출에서 가계대출 비중이 절반을 웃돌지만 수협은행은 그 비중이 30%에도 못 미친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분리되면서 9000억원의 자본금이 확충됐기 때문에 상황이 달라졌다는 게 이 행장의 진단이다.
그는 “기업에 치우친 여신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우량자산 중심으로 공격적으로 자산을 늘리겠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또 “공격적인 영업으로 개인고객을 늘려 저원가성 예금과 방카슈랑스, 펀드, 외환, 카드 등 다양한 상품을 유치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모든 기적의 비결은 여러 사람의 뜻이 일치되면 못할 일이 없다는 중심성성(衆心成城)이란 말로 압축할 수 있다”며 “수협은행 임직원이 힘을 합치면 수익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행장은 “늘어나는 수익은 외환위기 이후 투입된 1조1000억여원의 공적자금을 조기에 상환하는 데 우선 쓰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어업인 지원을 확대하는 등 대주주 수협중앙회와의 관계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 행장은 “32년간 은행원으로서 축적한 경험과 지식을 활용해 수협은행이 ‘강한 수협, 돈 되는 수산’이라는 수협의 비전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는 핵심 수익센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협은행은 행장 인선을 둘러싼 정부와 수협중앙회의 갈등으로 세 차례 공모 끝에 우리은행 부행장 출신인 이 행장을 선임했다. 이 행장 임기는 3년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