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한국산 부품소재, 아세안 교두보로 중국 사드 파고 넘는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산 부품소재, 아세안 교두보로 중국 사드 파고 넘는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KOTRA, 태국 방콕서 아세안지역 최초 글로벌파트너링(GP) 행사 개최



KOTRA는 27일(현지시간) 태국 방콕에서 ‘아시아 글로벌파트너링 사업(GP Asia 2017)’을 개최했다. 우리나라 부품소재 중소·중견기업이 해외 글로벌 기업의 공급망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KOTRA의 대표 사업이다.

아세안 지역은 사드(한반도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인한 대중(對中) 수출애로 속에서 시장 다변화를 꾀할 수 있는 대체 시장으로 꼽힌다. 특히 부품소재 분야는 올해 상반기 아세안 지역 수출이 전년대비 24.3% 늘어나는 등 아세안 시장 공략의 선두에 서 있다.

특히 태국은 아시아의 디트로이트, 동남아의 하이테크 생산기지로 불리며 이 지역 최대 자동차, 전자제품 생산기지다. 이번 행사는 26개 글로벌 기업과 우리 중소·중견 부품소재기업 37개사 관계자들이 참석해 1:1 상담, 구매정책 설명회, 샘플 쇼케이스 등을 진행했다. 도요타 혼다 닛산 BMW 폭스바겐 등 완성차 업체와 태국 최대 자동차 부품 기업 타이서밋 등에서 한국산 부품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도요타, 이스주, BMW, 폭스바겐 등 완성차 업체들은 친환경, 안전, 연비효율분야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일본 완성차 업체인 이스주 구매담당자는 “자사 신규 모델용 전자 센서와 연비 효율개선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한국 기업에 관심이 있다”며 “태국에 공장이 있거나 일본 본사에 부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한국기업을 선호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아세안 지역 자동차 생산은 384만 대다. 프로스트&설리반에 따르면 2020년에는 467만 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생산량의 절반 가량인 194만대가 태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한국 부품기업 J사는 “현재 내수와 중국시장에 주력하고 있지만 아세안내 일본계 글로벌 기업과의 거래를 위해 2018년에 태국 내 공장을 세울 것”이라며 “이번 행사에서 평소 만나기 어려운 글로벌 기업들을 한자리에서 만나 아세안 진출을 위한 안정적인 물량 확보에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김재홍 KOTRA 사장(사진)은 “지난 1~5월 우리기업 중국 현지 자동차 생산량이 34.2% 감소하는 등 우리 부품소재 기업에게 ‘포스트 차이나’ 시장발굴은 눈앞의 현실이 됐다”며 “아세안 지역으로의 시장다변화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