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6.80

  • 21.31
  • 0.85%
코스닥

728.74

  • 4.73
  • 0.65%
1/5

[사설] 속도내는 미국발 금리 정상화, 한국도 남의 일 아니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미국 중앙은행(Fed)은 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내달부터 만기가 돌아오는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 등 채권을 재매입하지 않고 시장에 내다 팔아 보유 자산을 축소키로 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양적완화 과정에서 사들였던 채권을 시장에 방출하겠다는 것으로 Fed가 다시 유동성 흡수에 나섰음을 뜻한다.

자산 축소 규모는 내달 100억달러를 시작으로 3개월마다 100억달러씩 늘려 12개월 뒤에는 월 500억달러씩 축소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금융위기 전 1조달러 미만에서 현재 4조5000억달러까지 불어난 Fed 보유 자산은 매달 줄고 그에 상응하는 시중 유동성도 축소될 전망이다. 9년간 지속돼 온 양적완화가 끝나고 긴축이 시작됐다는 얘기다. 미국발(發) 금리 정상화가 속도를 내게 됐다. 마침 Fed는 올해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릴 것임을 시사했다. 항간에는 현재 연 1.00~1.25%인 미국의 기준금리가 2020년에는 연 2.75%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양적완화와 초저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비상조치였다. 이제 글로벌 경기가 회복세인 만큼 미국은 물론 유럽중앙은행(ECB)과 영국,캐나다도 조만간 돈줄을 죄고 금리 정상화에 나설 것이라고 한다. 글로벌 통화정책의 큰 흐름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한국만 예외일 수는 없다. 당장 실행은 않더라도 금리 인상 논의가 필요한 이유다. 우선 미국 금리가 연내 연 1.25~1.50%로 오르면 1.25%인 국내 기준금리보다 상단이 높아져 한·미 간 금리역전이 발생한다. 가뜩이나 북핵 리스크가 커지는데 금리마저 역전되면 급격한 자금유출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물론 14개월째 동결 중인 기준금리를 올리는 게 녹록지만은 않다. 반짝하던 경기 회복세가 최근 주춤해지고 있는 와중에 금리까지 인상하면 경기 자체의 불씨가 꺼질 수도 있다. 1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부담이 더 커진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한국은행의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하지만 무작정 금리를 동결하고만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정부가 고민하는 부동산 문제가 장기간 지속된 저금리와 무관치 않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