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에 선비충의문화관, 홍성에 양반마을 등 추진
[ 임호범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709/2017091892381_AA.14766496.1.jpg)
대전시·세종시·충청남도·충청북도 등 충청권 4개 광역지방자치단체는 18일 충청유교문화권 관광개발사업을 위한 국비를 요청하며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했다. 내년부터 2026년까지 총사업비 7947억원을 투입해 충청유교문화 자원을 활용한 관광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사업 참여 자치단체는 4개 시·도, 30개 시·군·구에 달한다. 사업비는 충청남도가 3300억원(18개 사업)으로 가장 많다. 충청북도 3021억원(19개), 대전시 660억원(3개), 세종시 169억원(2개) 순이다. 총사업비 중 절반 정도인 3548억원은 국비로 확보할 계획이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09/2017091892381_AA.14769882.1.jpg)
충청권에선 조선시대 유교문화의 양대 산맥인데도 수십년간 수조원이 투입된 영남유교문화권에 비해 ‘찬밥’ 대우를 받았다는 불만이 컸다. 충청권 유교문화재는 국 가지정 80건, 도 지정 438건, 문화재 자료 265건 등 783건이 있다. 비지정 유교문화자원도 3000건에 달한다.
경북 북부지역을 무대로 번성한 영남유학에 비해 유적과 인물, 사상의 연계성이 높고 서원 등 관련 자원이 집적돼 관광 성장잠재력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최영갑 성균관교육원장은 “유교의 현대화 작업이나 대중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서는 학술 연구를 지속할 인프라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 사업은 충청권 4개 시·도의 지속적인 요청으로 정부가 용역을 통해 도출한 사업이어서 눈길을 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충청유교문화권 광역관광개발 기본구상 및 계획’을 마무리하고 이 같은 최종 계획안을 마련했다.
충청권 광역자치단체들은 사업이 정부 계획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시기별 국비 확보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충청남도는 기본 및 실시설계비 57억원, 충청북도는 사업비 127억원을 요청했다. 충청북도 관계자는 “충청 유교문화는 조선시대 영남 유교문화와 함께 양대 산맥이었지만 아직 개발과 재조명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지역균형발전과 충청 유교 모습 재현을 위해 사업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성=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