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호 기자 ] '노천'의 한자는 '이슬로(露)'이다. 이를 자칫 '길로(路)'로 착각하기 쉬우니 조심해야 한다. 한데에 있어서 이슬을 맞고 하늘을 볼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으니 절묘한 작법이다.
지난 9월7일은 절기상 백로(白露)였다. 더위가 물러간다는 처서(處暑) 다음에 든 백로는 본격적으로 가을이 시작하는 때다. 곧이어 추분(秋分·9월23일)이 되면 이때부터 밤의 길이가 낮보다 길어진다. 백로는 글자 그대로 ‘희고 맑은 이슬’이라는 뜻이다. 이맘때가 되면 새벽녘 풀잎에 이슬이 맺힌 것을 볼 수 있다는 데서 생긴 말이다. 이슬이 맺히는 온도를 ‘이슬점’이라고 한다. 대기 온도가 낮아져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다. 우리가 잘 아는 ‘어는 점(빙점)’, 즉 물이 얼기 시작할 때의 온도인 섭씨 0도가 되기 전이다.
노숙은 순우리말로 ‘한뎃잠’
노점상(길가의 한데에 물건을 벌여 놓고 하는 장사), 노숙인(길이나 공원 등지에서 한뎃잠을 자는 사람), 노천극장(한데에 임시로 무대만 설치해 만든 극장)….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이런 말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풀이에 힌트가 있다. 모두 ‘한데’와 관련돼 있다는 점이다.
한데는 주위를 둘러봐도 가리거나 덮을 게 아무것도 없는 곳을 말한다. 즉 집 바깥인 것이다. 한자어로 하면 ‘노천(露天)’이다. 노천극장을 비롯해 노천카페, 노천강당, 노천탕 같은 게 있다. 모두 한데에 만들어 놓은 것이다.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게 ‘노천’의 한자가 ‘이슬로(露)’라는 점이다. 이를 자칫 ‘길로(路)’로 착각하기 쉬우니 조심해야 한다. 한데에 있어서 이슬을 맞고 하늘을 볼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으니 절묘한 작법이다.
‘로(露)’는 뜻을 나타내는 ‘비우(雨)’와 음을 나타내는 ‘길로(路)’가 더해져서 만들어졌다. 빗방울이 길위에 얹혀 있다는 뜻이니, 곧 이슬을 말한다. 이슬은 한데와 연결돼 있어서 ‘드러내다, 나타내다’란 의미로도 많이 쓰인다. 노골적, 노출, 폭로, 탄로 등 많은 말이 이 ‘露’자를 쓴다.
피로연은 ‘널리 알리는 잔치’
‘노점상’이나 ‘노숙인’도 어원 의식이 흐려지면서 ‘길로(路)’ 자를 쓰는 말로 알기 쉽지만 모두 ‘이슬로(露)’다. 대부분 이 말의 의미를 ‘길거리에서 장사하는 사람’ ‘길에서 잠자는 사람’ 정도로 알고 있기 때문에 ‘길’을 연상해 그런 것 같다.
노숙인은 길에서 자는 사람이 아니라 이슬 맞고 자는 사람이라는 데서 온 말이다. 노숙(露宿)을 순우리말로 하면 한뎃잠이다. 즉, 한데서 자는 잠을 뜻한다. 요즘 노숙인은 문전걸식(門前乞食: 이집 저집 돌아다니며 빌어먹음)이나 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집 없이 떠돌아다님을 비유)라고 할 것까진 없지만 모두 풍찬노숙(風餐露宿: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잔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많은 고생을 겪음을 비유)한다는 점에선 비슷한 말이다.
노점상도 길(路)과 관련이 있기는 하지만 이슬(露)이 더 본질적인 뜻을 담고 있다. 노점(露店)은 점포 없는 가게다. 조선시대에 허가 없이 장사하던 ‘난전(亂廛)’에 해당한다. 이들은 점포를 차리고 물건을 팔던 ‘시전(市廛)’ 상인에 비해 한데서 떠돌아다니며 좌판을 벌였다.
결혼식 같은 데 가면 피로연을 하는데 이때의 피로는 무엇일까? 행사를 하느라 피로(疲勞)할 테니 먹고 쉬라는 잔치인가? 피로연(披露宴)에도 露가 쓰였는데, 이때는 ‘드러내다’란 의미다. ‘펴다, (끈을)풀다’는 뜻의 피(披)와 어울려 ‘일반에게 널리 알린다’는 뜻이다. 피로연은 곧 결혼이나 출생 등 기쁜 일을 ‘널리 알리기 위해 베푸는 잔치’를 말한다.
홍성호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