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도 보란 듯 포승줄 사진 1면에
'공포의 삼성' 수뇌부 공백에 반색하는 일본 기업들
"재판서 나온 이재용 정보로 경영스타일 입체분석했을 것"
[ 도쿄=김동욱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708/2017080883501_01.14471637.1.jpg)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지난 7일 결심공판에서 이 부회장에게 징역 12년이라는 중형을 구형한 사실도 니혼게이자이신문 아사히신문 등 유력 언론이 앞다퉈 종합면이나 국제면 주요 기사로 비중 있게 처리했다.
‘징역 12년 구형’이라는 기사 제목 아래엔 ‘이재용 피고’라는 설명이 달린 사진이 눈에 띄게 배치됐다. 통상 검사의 구형과 판결 간 괴리가 크지 않은 일본 법정의 특성을 고려하면 일본 일반 독자들에겐 이 부회장이 부패범죄를 저지른 범법자라는 인식이 각인됐을 것이다. “이재용 씨 눈물 흘리며 ‘모두 내 잘못’”(산케이신문)이라는 제목을 본 독자라면 이 같은 확신이 더 굳어졌을 것이다.
일본 언론은 재판 과정을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이 부회장의 ‘경영 스타일’을 분석하는 장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주변에서 (삼성) 회장 취임을 제안했지만 이 부회장은 거절’ 같은 기사에선 얼마 안 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발언이라도 전후맥락과 함께 빠짐없이 전하고 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08/2017080883501_AA.14468278.1.jpg)
일본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 관계자들은 “일본 기업들은 재판과정에서 공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 부회장의 경영스타일에 대한 ‘현미경 분석’을 마쳤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일본이 이처럼 이 부회장 재판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로는 삼성에 대한 ‘질시와 공포’가 한몫하고 있다는 시각이 많다. 도시바의 반도체 사업부문 매각이나 히타치와 도시바, 소니가 힘을 합쳐 만들었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경쟁에서 뒤로 밀려버린 재팬디스플레이(JDI)의 상황을 전하는 기사에선 업계 1위 삼성전자의 ‘높은 벽’이 빠짐없이 거론된다. 삼성전자는 “신속한 의사결정과 과감한 설비투자로 반도체와 휴대폰, TV 세계시장에서 일본 업체들을 구석으로 몰아넣은 존재”(니혼게이자이신문)로 공포스럽게 묘사되기 일쑤다.
이처럼 수세로만 몰렸던 일본 기업들로선 이번 삼성 수뇌부의 공백사태가 큰 관심이자 기회가 아닐 수 없다. 올해 삼성전자가 ‘경영혁신’의 상징이라는 도요타자동차의 두 배 가까운 5조엔(약 50조원)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 부회장이 구치소에 있는 삼성 분위기는 무겁기만 하다고 일본 언론들은 소상하게 전하고 있다. 때마침 소니, 도시바 등은 한때 포기하다시피 했던 TV시장에서 전열을 다시 가다듬고 있기도 하다.
촛불 시위 이후 빚어진 한국의 정권교체와 이 부회장 구속을 두고 한국에선 직접민주주의의 성과이자 경제정의 실현으로 여기는 시각이 많다. 하지만 일본에선 “법과 시스템을 무시한 행위”라는 해석이 주를 이룬다. 일본 언론의 호들갑스러운 이 부회장 재판 보도의 이면에는 ‘필요 이상으로 감정적인 한국인은 결국 일본을 못 당한다’는 냉정한 판단도 담겨있다는 느낌이다.
일찍이 유럽을 제패했던 나폴레옹은 자신의 성공비결을 묻는 질문에 “적의 손발을 자르기보다 적의 머리를 부숴버리는 데 전념했다”고 말했다. 일본 기업인들은 도저히 감당할 수 없을 것만 같던 거대한 경쟁자가 스스로 머리가 잘려나가는 상황을 지켜보며 통쾌한 반전을 꿈꿀 것이다.
그러고 보니 8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도 포승줄에 묶인 채 법정으로 들어가는 이 부회장 사진을 아시아판 1면에 게재했다. 한국 대표기업이 휘청이는 것을 반기는 것은 일본 기업만도 아닌 모양이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2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