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3.06

  • 17.30
  • 0.69%
코스닥

692.00

  • 1.15
  • 0.17%
1/2

대학도 '최저임금 인상' 요구…이대·경희대 되고 OO대 안 되는 이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대학가, 최저임금 인상 요구 봇물
비정규직 노동자 정규직 채용…경희 모델 '주목'




2018년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대학가도 시급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대학에서는 환경미화·경비노동자 등 비정규직이 주로 간접고용 형태로 일하고 있다. 이들 비정규직 노동자가 대학 측에 인상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4일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달 이화여대·덕성여대·광운대 등을 시작으로 몇몇 대학의 비정규직 노동자 임금 인상안이 타결됐다. 모두 기존 시급 6950원에서 7780원으로 830원 올랐다.

특히 이화여대는 정유라 입시 및 학사비리 사태로 최경희 전 총장이 물러난 뒤 취임한 '촛불 총장' 김혜숙 총장의 영향이 컸다는 평가다. 시급 7780원은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가 정한 2018년 최저임금 7530원을 웃돈다. 이대가 매년 2~3%씩 인상한 데 비해 올해는 11.94% 껑충 뛰었다. 수년간 교직원 임금이 동결된 상황에서 노조 측 임금 인상 요구를 수용했다.

경희대는 아예 산합협력단 산하 기술지주회사에 자회사 '케이에코텍'을 설립해 청소노동자 135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키로 했다. 대학 구성원인 노동자를 배려하는 '경희 모델'을 추진한 데 따른 것이다. 경희대는 2015년부터 학교와 청소노동자, 희망제작소가 함께 '사다리포럼'에 참여해 학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왔다. 경희대 관계자는 "임금에 대해선 협상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런 흐름은 다른 대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연세대·고려대·숙명여대 등 10여 개 대학에서 임금 인상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들 대학은 난처해하는 분위기다. 주 수입원인 등록금이 수년간 동결된 상황에서 재원 마련이 부담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입학금 폐지 압력까지 받고 있다. 게다가 대학들은 대부분 직접고용이 아닌 용역업체에 하청을 주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어 학교가 직접 나서기 꺼려했다.

연세대 관계자는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만 밝혔다. 숙명여대 관계자 역시 "노동자들과 꾸준히 대화를 하고 있지만 인상 수준에 대해서는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름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당분간 진통이 예상된다.

모 대학 관계자는 "수년간 교직원 임금이 동결된 데다 등록금도 인상 안 되는 상황에서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은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매년 조금씩 임금을 올리고 있지만 다른 대학들처럼 830원씩 올리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대학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 문제를 담당하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관계자는 "이화여대의 경우 총장이 직접 협상에 임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대부분 대학들은 총장이 이 문제를 외면한다"면서 실제 사용자인 대학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2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